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 <br>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오늘부터 다음주까지 동북아 외교가 숨 가쁘게 돌아갑니다. <br><br>정확히 말씀드리면 한미일, 북중러가 각각 뭉칩니다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 오늘 인도네시아로 출국했습니다. <br> <br>한-아세안 회의, G20 회의를 잇달아 참석하는데 지난달 만났던 한미일 정상이 6차례 가량 조우하며 협력을 다지게 됩니다. <br> <br>반대로 북한 김정은 위원장은 이르면 다음주 러시아를 방문해 푸틴 대통령과 만날 것으로 보입니다.<br> <br>미국 정부 측도 가능성을 인정했습니다. <br> <br>무기 거래를 논의할 것으로 보여 우리도 예의주시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워싱턴 이은후 특파원이 첫 소식 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미국 정부 관계자 등이 뉴욕타임스를 통해 밝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방문 시기는 이르면 다음주입니다. <br> <br>오는 10일부터 나흘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난다는 겁니다. <br><br>지난 2019년 4월 두 정상이 첫 회동을 가졌던 곳입니다. <br><br>[김정은 / 북한 국무위원장 (2019년 4월)] <br>"같이 조선 반도 정치를 평가하고 서로의 견해를 공유하고 앞으로 공동으로 조정 연구해나가는 데서 아주 의미있는 대화가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 첫 회동 때처럼 무장된 열차가 이동 수단으로 언급됐고 러시아 태평양 함대 사령부와 같은 추가 방문지도 상세히 거론됐습니다.<br> <br> 수도 모스크바를 찾을 가능성도 열어뒀습니다.<br> <br>핵심 의제는 무기 거래가 유력합니다. <br><br>백악관은 채널A 질의에 "김 위원장이 정상급 외교 접촉을 포함해 무기 거래 대화의 지속을 기대한다는 정보가 있다"고 답했습니다. <br><br> 앞서 무기협상을 위한 러시아 고위 관리들의 방북과 두 정상의 서한 교환 첩보를 공개한 백악관이 사실상 정상 회동 계획까지 빠르게 인정한 겁니다. <br> <br>[존 커비 / 백악관 NSC 전략소통조정관 (지난달 30일)] <br>"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양국 간 협력 강화를 약속하는 서한을 교환했습니다." <br> <br>북러 정상의 서한 교환에 이어 김 위원장의 방문 관련 동향 정보를 잇따라 흘리는 전략을 통해 미 정부가 북러 밀착 견제에 나섰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이은후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방성재<br /><br /><br />이은후 기자 elephant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