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 총리가 인도네시아에서 개막한 아세안에 이어, G20 정상회의에도 참석합니다. <br /> <br />시진핑 주석의 첫 G20 불참을 뜻하는 건데, 이유는 뭘까요? <br /> <br />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리창 중국 총리가 아세안 정상회의 개최지 인도네시아를 방문했습니다. <br /> <br />9일부터는 시진핑 주석 대신 인도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 참석합니다. <br /> <br />시 주석이 G20에 불참한 건 집권 이후 처음이라 뒷말이 무성합니다. <br /> <br />먼저 전략 경쟁 관계가 돼버린 인도의 안방 잔치에 들러리 서고 싶지 않다는 속내가 엿보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 견제 차원에서 인도에 힘을 실어주는 미국에 대한 '보이콧' 신호로도 읽힙니다. <br /> <br />[마오닝 / 중국 외교부 대변인 : (리창 총리가 미국 해리스 부통령과 만납니까?) 그 질문에 대해 지금 드릴 수 있는 소식은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최근 중국이 인도와 국경 분쟁 지역을 자국 영토로 명시한 표준 지도를 발표한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. <br /> <br />시 주석의 G20 정상회의 불참 배경 가운데 하나로도 꼽힙니다. <br /> <br />남중국해 영유권까지 쐐기를 박는 내용이어서 아세안 국가들도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이번 아세안 정상회의 핵심 의제는 경제라며 미리 선을 그었습니다. <br /> <br />[왕원빈 / 중국 외교부 대변인 : 이것(표준지도)은 중국이 법에 따라 주권을 행사하는 관행입니다. 객관적이고 냉정하게 보고, 과도하게 해석하지 않기를 바랍니다.] <br /> <br />일상 회복 뒤에도 계속되는 경기 침체와 취업난, 부동산 위기와 같은 내부 문제도 시 주석의 발목을 잡았다는 평가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 시 주석이 공들여 창설한 핵·미사일 사령부 숙청설이나 친강 외교부장의 갑작스러운 낙마 등 이상 징후가 잇따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매체들은 여름 휴가를 겸해 개최하는 공산당 수뇌부 회의에서 원로들이 최근 내정 불안을 성토하는 집단행동에 나섰다고 쓰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90520590085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