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·중·러 연합훈련 현실화하나…김정은 '해군 무력' 강조 주목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과 중국, 러시아 3국간 연합훈련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'해군 무력 강화'를 거듭 강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북중러 연합훈련이 현실화할 경우 한반도를 둘러싼 한미일 대 북중러 대치 구도가 더 고착화할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지성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러시아 국방장관은 최근 북한과 연합 군사훈련을 논의한다는 사실을 언론에 공개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 측은 기존에 중국과 실시해온 연합훈련에 북한이 추가로 합류하는 방식을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 "국정원에서는 쇼이구 국방장관이 북한을 방문해서 김정은을 면담할 당시에 연합훈련에 대한 공식 제의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을 한다는…."<br /><br />러시아 제안을 북한이 수용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, 북한 입장에선 거부할 이유가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.<br /><br />북한 혼자서 한미일 안보 협력 강화에 맞서기보단 러시아와 중국의 군사력에 편승하는 것이 전략적 이익에 부합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김정은 국무위원장도 '한미일 대 북중러' 대치 구도가 자신들에게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 "국제관계 구도가 '신냉전' 체계로 명백히 전환되고…."<br /><br />북·중·러 연합훈련이 실제 이뤄진다면 우선은 3국 해군을 동원한 동해상 훈련이 가장 유력합니다.<br /><br />북한 군용기가 대부분 구식 모델이고, 전투기 수입도 당장은 불가능해 보이는 만큼 연합 공중훈련에 내보낼 만한 전력이 사실상 없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김 위원장이 최근 해군 관련 공개 활동에 자주 나서고 '해군 무장장비 현대화'를 거듭 주문하는 것도 연합 해상훈련을 염두에 둔 행보라는 관측입니다.<br /><br /> "해군 무력의 급속한 발전 성과를 쟁취하는 것은 최근 적들의 침략적 기도와 군사행동 성격을 보아도 매우 절실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북한이 러시아 제안을 수용했더라도 열악한 해군력을 보강해 연합훈련에 나서기까지는 시간이 좀 필요하지 않겠냐는 전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 (yoonik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