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중일 협력 강조했지만…중국 "신냉전 안돼" 인식차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선 아세안·한중일 정상회의도 열렸습니다.<br /><br />한중일 3국의 지도자들이 아세안을 매개로 한 회의체에서 한 자리에 모인 건데요.<br /><br />3국은 큰 틀에서의 협력을 강조했지만, 중국과는 북핵 문제와 국제정세, 지역내 현안 등에서 인식차가 묻어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방준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아세안과 한중일 정상이 취재진 앞에서 손을 맞잡습니다.<br /><br />윤석열 대통령은 처음 만난 중국 리창 총리에게 밝은 표정으로 악수를 건넸습니다.<br /><br />아세안 정상회의를 계기로 모인 한중일 3국은 모두 역내 평화와 안정을 위한 협력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 "한일 관계 개선을 통해 한미일 3국 협력의 새로운 장이 열렸듯이 한국, 일본, 중국 3국 협력의 활성화는 아세안+3 협력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발판이 될 것입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개별 사안의 해법이나 각론을 놓고는 입장차가 드러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윤 대통령은 "국제사회가 북한 핵미사일 개발을 좌시하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줘야 한다"며 해외노동자 파견과 불법 사이버 활동 차단 등 대북제재 공조를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총리를 앞에 둔 이같은 발언을 놓고 대북 제재 이행과 북한 비핵화라는 국제사회의 노력에 소극적이란 평가를 받는 중국의 역할을 주문한 것이란 해석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리 총리는 "각국이 분쟁을 적절히 처리하기 위해선 편 가르기와 블록 대결, 신냉전에 반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견제를 외교정책의 최우위에 둔 미국을 중심으로 한국과 일본이 밀착하며 한미일 협력이 강화되는 흐름에 대한 중국의 불편함이 드러난 발언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습니다.<br /><br />일본과 중국은 오염수 방류를 놓고 논쟁을 벌이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기시다 총리는 중국이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한 데 대해 "돌출 행동을 했다"고 지적했다고 일본 언론이 전했습니다.<br /><br />리 총리는 일본 측에 "주변국과 충분히 협의할 것"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방준혁입니다. bang@yna.co.kr<br /><br />#아세안 #한중일 #윤대통령 #리창 #기시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