말 많았던 CFD…규제 강화해 재개했지만 '시들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SG증권발 주가 폭락 사태 원인으로 지목됐던 차액결제거래, CFD가 규제 강화와 함께 이달부터 재개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기존에 서비스를 제공하던 증권사 중 일부만 거래를 재개했고, 잔고 역시 과거보다 줄어 당분간 시장 상황이 위축될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이은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8개 종목에서 무더기 하한가가 터진 이른바 '라덕연 사태', 이 과정에서 주가 조작 도구로 차액결제거래, CFD가 지목됐습니다.<br /><br />CFD가 실제 주식을 보유하지 않고도 2.5 배까지 빚을 내 투자할 수 있고, 외국계 증권사를 통해 거래할 경우 외국인으로 분류되는 점을 악용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주가 폭락 사태 뒤 중단됐던 CFD 신규 거래는 규제를 강화해 이달부터 재개됐습니다.<br /><br />재개된 CFD는 이제 금융투자협회를 통해 잔고 공시가 이뤄집니다.<br /><br />CFD를 거래하려는 개인은 최근 5년 내 1년 이상 월말 평균 잔고가 3억원을 넘어야 하는 등 투자 자격도 강화됐습니다.<br /><br />그러다보니 재개된 CFD 투자는 예전보다 시들해졌습니다.<br /><br />하한가 사태 전인 3월 말 2조8,000억원에 육박했던 잔고는 재개 직전인 8월 말 1조1,058억원으로 위축되더니, 재개 후에도 1조 1,040억원으로 큰 변동이 없었습니다.<br /><br />CFD 거래에 필요한 개인 전문 투자자 신규 등록 건수는 올해 상반기 6,175명, 지난해와 비교하면 17% 줄었습니다.<br /><br />그간 CFD 거래를 제공했던 국내 증권사는 총 13곳, 하지만 재개 뒤 당장 서비스를 다시 시작한 곳은 4곳뿐입니다.<br /><br /> "복합적인 규제 강화, 부정적 인식 때문에 향후에는 CFD 시장이 크게 위축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."<br /><br />높은 리스크를 지고 고수익을 좇기 위해 고액 자산가들이 주로 찾았던 CFD, 주가 조작이란 부정적 꼬리표가 달리며 아직은 꺼리는 분위기가 역력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은정입니다. (ask@yna.co.kr)<br /><br />#CFD #SG사태 #주가조작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