윤석열 대통령이 북한의 핵 개발에 따른 국제사회의 제재와 관련, “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 결의를 준수해야 하며, 결의안을 채택한 당사자인 안보리 상임 이사국의 책임은 더 무겁다”고 밝혔다. <br /> <br /> 북한과의 무기 거래설이 계속 제기되며 최근 정상회담을 계획하고 있는 러시아와 대북 제재에 거부권을 행사했던 중국 등을 압박하는 발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. <br /> <br /> 윤 대통령은 7일(현지시간)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동아시아 정상회의(EAS)에서 “북한의 핵 개발은 회의에 참석한 모든 국가를 겨냥하고 타격할 수 있는 실존적인 위협”이라며 이같이 말했다. <br /> <br /> 윤 대통령은 “북한의 핵, 미사일 개발은 중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자 세계 평화에 대한 정면 도전”이라며 “북한의 핵 개발 의지보다 이를 저지하려는 국제사회의 결의가 훨씬 더 강력하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줘야 한다”고 강조했다. <br /> <br /> 그는 “모든 유엔 회원국은 이런 안보리 제재 결의를 준수해야 하며, 결의안을 채택한 당사자인 안보리 상임 이사국의 책임은 더 무겁다고 할 것”이라고 언급했다. <br /> <br /> 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언급하며 “이는 유엔 헌장을 비롯한 국제법에 대한 위반 행위”라고 비판했다. <br /> <br /> 아울러 “한국은 우크라이나 평화 연대 이니셔티브를 충실이 이행할 것”이라며 “향후 우크라이나의 재건 복구 노력에 책임 있게 기여해 나갈 것”이라고 덧붙였다. <br /> <br /> 이날 회의에는 중국과 러시아에서 각각 리창 총리와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190740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