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김정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의 다음주 북러 정상회담은 4년 전 만났던 블라디보스토크 루스키섬에서 다시 만날 것으로 보이는데요. <br> <br>날짜, 이동수 다 공개가 되다보니 깜짝 경로를 택할 가능성도 거론됩니다. <br><br>이다해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다음 주 초로 예상되는 북러 정상회담을 위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예상과 다른 경로를 택할 가능성이 있다고 국정원이 국회에 보고했습니다. <br> <br>[유상범 / 국회 정보위 국민의힘 간사] <br>"기존에 언론에 공개된 경로와는 다른 경로로 깜짝 행보를 보일 가능성도 생각하고 있다" <br> <br>이미 뉴욕타임스 등 언론을 통해 예상 회담 날짜와 이동 수단까지 공개되고 예상 경로까지 보도되면서 다른 이동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.<br> <br>[인터뷰: 고영환 / 통일미래기획위원회 위원] <br>"(중국) 단둥을 거쳐 심양을 거쳐서 동북3성을 지나서 러시아로 가는 방법이 있는데 너무 시간이 많이 걸리긴 하죠 최소 30시간 이상 걸릴텐데. 중국 넘어가면 철도가 안전하긴 하니까…" <br> <br>러시아 정부 관계자가 일본 NHK를 통해 밝힌 정상회담 개최장소는 4년 전 두 정상이 만난 블라디보스토크 남쪽 루스키섬의 극동연방대학입니다.<br> <br> 이곳으로 향하는 길은 루스키 대교 뿐. <br><br> 다리를 건너야 섬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. <br><br>외교소식통은 채널A에 "북러 정상 등 VIP가 이동하는 경우 루스키 대교가 통제될 것"이라며 "폐쇄되면 아무도 접근할 수 없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양국 정상이 보안에 신경을 쓰는만큼 통제가 쉽고 고립된 장소를 택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 인파가 몰리는 12일 동방경제포럼 본회의를 피해 다음 날 회동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<br> 존 커비 미국 NSC 전략소통조정관은 "북중러가 미국을 공동의 적으로 여기고 있다"며 "이들의 관계 강화를 심각하게 받아들인다"고 재차 경고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정다은<br /><br /><br />이다해 기자 cando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