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 정부가 비료용 요소 수출을 중단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오자 요소 관련 기업 주가가 급등하는 등 시장이 화들짝 놀랐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중국 정부의 공식적 수출 통제는 없는 상황이라며 실제 그런 조치가 내려지더라도 국내 수급에는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 정부 지시로 비료업체 일부가 신규 수출 계약을 중단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오자 국내 주식시장에서 요소 관련주들이 급등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한 번 2년 전처럼 요소수 대란 같은 사태가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요소는 비료용과 차량용, 산업용으로 나뉘는데, 외신이 보도한 건 비료용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확인 결과 지난 2일 중국 비료업체가 수출 물량 축소를 발표했지만 중국 정부의 공식적 수출 통제는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에서는 겨울 밀농사로 가을에 요소 수요가 느는데, 최근 인도에서 대량 수입하면서 가격이 뛰자 수출 물량이 줄어드는 연쇄작용이 발생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강종석 / 기획재정부 경제안보공급망기획단 부단장 : 중국하고도 안정적으로 관계가 돼 있기 때문에 과거와 같은 포괄적인 수출 제한 조치는 없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올해 우리나라의 비료용 요소 수입 물량을 보면 카타르가 41%를 차지하는 등 가격이 상대적으로 싼 중동산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산 비중은 2년 전 65%에서 17%로 크게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비축 상황도 문제가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비료용 요소 원자재의 경우 올해 예상 소요량 38만6천 톤 가운데 77%가 넘게 확보됐고 가격도 안정화돼 연말까지 모두 수입될 예정이라고 정부는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완제품 재고량도 25만9천 톤으로 연말까지 수급에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과거 파동이 발생한 차량용 요소수는 국내에 두 달분이 비축돼 있고, 수입 대체선도 확보돼 있어 위기 발생 시 대응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차량용과 산업용 요소의 중국 의존도는 여전히 90.2%에 이르러 수입 다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김희정 <br />그래픽 : 지경윤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은 (se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90818082737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