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국 최대 맹꽁이 서식지로 알려진 대구 달성습지에서 맹꽁이 축제가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정작 주인공인 맹꽁이를 볼 수 없는 당황스러운 상황이 펼쳐졌는데요. <br /> <br />무슨 일인지, 김근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고사리손으로 장난감을 돌려 직접 맹꽁이 울음소리를 들어봅니다. <br /> <br />조심조심 망치를 두드려 맹꽁이가 살 집도 직접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멸종위기종 맹꽁이의 서식지인 대구 달성습지에서 열린 맹꽁이 축제. <br /> <br />하지만 '맹꽁이야 놀자'라는 표어가 무색하게 장난감과 체험 행사뿐, 정작 주인공인 맹꽁이는 찾아볼 수가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대영 / 대구 달성군 : 맹꽁이 축제라고 해서 맹꽁이를 보러 왔는데, 아이한테 보여주고 싶었지만, 맹꽁이를 볼 수 없어서 많이 아쉬웠고요. 저도 어렸을 때 많이 못 본 종류라서 많이 보고 싶었는데 못 본 게 제일 많이 아쉬웠던 거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축제가 시작된 2014년 이후 맹꽁이 개체 수가 관측도 힘들 만큼 줄면서 '맹꽁이 없는 맹꽁이 축제'로 전락한 겁니다. <br /> <br />이곳 달성습지에서는 10년 전, 8만 마리가 넘는 맹꽁이가 관측됐습니다. 하지만 바로 이듬해부터 수가 급격하게 줄더니, 최근 몇 년 동안은 울음소리조차 들을 수 없는 해가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축제를 주최한 대구시는 맹꽁이가 왜 사라졌는지도 아직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땅속에 사는 맹꽁이의 생태 상 제대로 된 실태조사도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기후변화에다 습지 주변으로 고속도로가 나는 등 도시 개발이 거듭된 영향으로 추정할 뿐입니다. <br /> <br />[김대호 / 양서류 연구원 : 맹꽁이가 이렇게 활동하는 주 무대인 지역 쪽으로 이렇게 도로가 뚫리면서 (서식지가) 절단되고, 단절되고 이런 상황이라 맹꽁이가 계속 감소할 수 있는 그런 분위기를 조성해 주고 있는 거죠.] <br /> <br />우선 대구시는 맹꽁이가 알을 낳고 번식할 수 있는 인공 웅덩이를 만드는 등 대책을 세울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맹꽁이가 종적을 감춘 지 이미 몇 년이 흘렀는데도 손을 놓은 채 축제만 열어왔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근우입니다. <br /> <br />VJ: 김지억 <br />그래픽: 박유동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근우 (gnukim052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909201741553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