흥행 신작 기근에 기존작 지키기…게임 '빅3' 소송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게임업계에서 지식재산권을 둘러싼 분쟁이 심상치 않습니다.<br /><br />관심을 끌 대형 신작이 부재한 상황에서 비슷한 게임이 많아지며 수익성이 떨어진 것이 원인인데, 한국 게임산업에 위기가 찾아왔다는 시각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배삼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998년 출시 이후 25년간 장수해온 엔씨소프트의 '리니지'.<br /><br />현재까지 출시된 '리니지' 게임은 5개, 그 중 '리니지M'과 '리니지2M'은 모바일 시장을 평정했습니다.<br /><br />수익 보장 수표가 되면서 비슷한 게임들이 잇따라 출시돼 리니지와 유사하다는 의미로 이른바 '리니지라이크'란 표현까지 나왔는데, 원조 게임의 성장에는 장애가 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엔씨소프트가 웹젠과 카카오게임즈를 상대로 저작권 소송을 벌이는 것도 리니지 실적에 차질을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또다른 대형 게임기업 넥슨도 저작권 소송이 진행중입니다.<br /><br />국내 게임사 '아이언메이스'가 내놓은 '다크앤다커'가 넥슨에서 퇴사한 개발진들이 자사의 미출시 프로젝트를 무단 반출해 개발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심지어 대형 게임사 크래프톤이 관련 판권을 사들이며 파장이 커지는 양상입니다.<br /><br />국내 3위 넷마블 역시 2014년 출시한 '세븐나이츠'를 놓고 게임사 마상소프트와 법정 공방이 진행중입니다.<br /><br />이렇게 게임사 '빅3'가 소송전에 나선 건 신작들이 잇따라 고배를 마시면서 그만큼 절박한 상황에 놓였다는 것을 반증하는 겁니다.<br /><br /> "이게 (모바일로) 플랫폼이 바꿔서 생기는 이슈예요. 유저들을 잡아야 되기 때문에 이제는 IP(지식 재산권)가 없으면 유저를 잡을 수가 없는 거죠."<br /><br />중국산 게임이 커가는 것과 반대로, 국내 게임사들은 위축되고 있는데, 이런 상황을 극복하려면 기존 게임 지키기나 베끼기가 아니라 독창적인 새 게임 개발 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 (baesj@yna.co.kr)<br /><br />#게임_베끼기 #엔씨소프트 #넥슨 #넷마블 #크래프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