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아프리카 모로코 강진 사망자가 2천 명을 넘은 가운데 맨손까지 동원한 필사의 구조작업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여진 공포까지 더해지며 수색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형체도 알아볼 수 없이 무너져내린 집들, 구조대가 어렵게 사람 한 명을 들것에 옮깁니다. <br /> <br />구조대원이 출동한 곳은 그나마 사정이 낫지만 심각한 곳은 건물에 깔린 사람들을 시민들이 맨손으로 구해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골든타임인 72시간 안에 찾아내기 위해 필사의 구조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파트나 베커 / 지진 피해 주민 : 맨손으로 잔해를 치운 이웃들이 저를 구해줬습니다. 내 집은 다 망가져서 지금은 이웃집에서 같이 살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피해가 집중된 아틀라스 산맥 지역 고지대는 도로가 끊기거나 산사태로 막혀 구급차 통행도 어려운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주민들을 가장 고통스럽게 하는 것은 여진에 대한 공포입니다. <br /> <br />여진 공포에 집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노숙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여진이 덜 강력하더라도 강진으로 취약해진 건물이 무너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[모하메드 타카피 / 피해 주민 : 지금도 사람들은 지진에 대한 충격으로 집에 돌아가지 못하고 있습니다. 아직 두렵고 두 번째 지진이 규모 7 수준이라 돌아가기 쉽지 않아요.] <br /> <br />국제사회의 지원도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중국, 전쟁 중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, 대지진을 격은 튀르키예도 연대 의사를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독일은 모로코에 파견할 지원팀을 꾸렸습니다. <br /> <br />[안케 플래트너 / 독일 구조대 : 저희는 처음부터 희망을 잃지 않습니다 오랜 시간이 흐른 뒤 살아 있는 사람이 발견된 경험도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한편 모로코에 있는 360여 명의 한인 교민들은 현재까지 안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세계지질공원 총회 참석차 현지에 머물고 있는 제주 대표단도 무사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선희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 : 박정란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선희 (sunny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91020281408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