더 낮은 요금제·데이터 이월 추진…실효성은 따져봐야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5G 가입자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7월에는 3,100만 명을 넘었지만 증가율은 1%대였는데요.<br /><br />이제 많이 가입한 것도 이유지만 5G 요금제 불신 탓이란 지적이 나오자 정부가 5G 요금제 추가 개편 카드를 꺼냈습니다.<br /><br />배삼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이동통신 3사가 제공하는 5G 요금제 중 가장 싼 것은 4만원대입니다.<br /><br />4만5,000원에서 4만9,000원대인데, 정부가 이를 3만원대로 더 낮추는 방안을 추진합니다.<br /><br />데이터 사용량을 적게 설정해 기본요금을 낮게 설정한 뒤, 이를 넘은 추가 사용량은 쓴 만큼만 요금을 내게 하는 게 핵심입니다.<br /><br />또, 다 쓰지 못한 데이터는 다음달로 이월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GB 이하 요금제 구간이 다양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분화하려는 취지라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여기에 데이터 사용 패턴을 고려한 추천 요금제 고지 의무를 통신사에 부과하는 방안도 논의 중입니다.<br /><br />다만, 부작용과 한계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현재 이통사들은 5G 기본제공 데이터가 소진되면 4G LTE로 데이터를 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더 낮은 기본요금을 위해 기본 데이터를 낮게 설정하고 추가 사용한 5G 데이터에 요금을 물리면, 5G 데이터를 쓸 수 있지만, 요금은 더 늘어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수익률이 낮아진 이통사들이 가족간 결합이나 인터넷,IPTV 연계 결합상품을 더 늘려 소비자들의 자유로운 이동을 막을 가능성도 있습니다.<br /><br /> "정부의 요금인하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결합 할인을 해서 요금 인하에 대응한다거나 아니면 결합 상품의 종류를 좀 더 늘린다거나 결국에 상품성 강화를 하지 않겠나…"<br /><br />월평균 통신서비스 지출은 1인당 9만9,000원대.<br /><br />통신비에 단말기값이 포함돼 요금이 높게 나온다는 지적도 나오자 정부는 저가 단말기 도입과 자급제 확산 방안도 마련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 (baesj@yna.co.kr)<br /><br />#5G요금제 #시작요금인하 #데이터이월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