옛 소련 시절 우주대국 위상 되찾고자 건설한 곳 <br />2016년 위성 실은 소유즈 로켓 처음 쏘아 올려 <br />지난해 4월엔 벨라루스 루카셴코 대통령과 회담<br /><br /> <br />북·러 정상회담 장소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곳이 바로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입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의 새로운 우주산업 중심기지인데 북·러 정상이 왜 이곳을 택했는지 최두희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주 강국 러시아의 첨단 우주산업을 대표하는 보스토치니 우주기지. <br /> <br />러시아어로 '동쪽'이란 뜻을 지닌 보스토치니는, 블라디보스토크에서도 1,000㎞ 넘게 이동해야 하는 깊은 내륙에 위치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가 카자흐스탄에 있는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, 옛 소련 시절의 우주대국 위상을 되찾고자 새롭게 건설한 곳입니다. <br /> <br />2016년엔 위성을 실은 소유즈 로켓을 처음 쏘아 올린 곳으로, 당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로켓 발사 장면을 지켜보며 "러시아는 우주 발사 부문에서 세계의 선두"라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상 간의 만남이 이뤄졌던 실제 사례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4월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의 '형제국'으로 친러 행보를 이어온 벨라루스의 루카셴코 대통령과 이곳에서 만났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엔 이곳에서 달 탐사선도 쏘아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러시아는 무인 달 탐사선 '루나 25호'를 발사했지만, 달 표면에 추락하면서 1976년 이후 47년 만의 달 탐사는 실패로 끝났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 역사가 있는 만큼 '보스토치니 우주기지'는 북·러 군사협력 확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곳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특히 북한은 올해 들어 정찰위성 발사에 두 차례나 실패했고 다음 달 재발사를 공언한 상황. <br /> <br />북한은 북·러 정상회담을 통해 러시아에 포탄 등 재래식 무기를 건네는 대신 러시아로부터 위성 관련 기술을 받아 실패를 만회할 절호의 기회로 삼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방러를 수행하는 북한 인사 가운데 당 과학담당비서인 박태성이 군사정찰위성 개발을 총괄한다는 점도 이런 분석에 힘을 싣습니다. <br /> <br />[엄구호 / 한양대 국제대학원 러시아학과 교수 : 아마 정찰위성 기술 획득을 북한이 굉장히 원해서 우주기지를 보는 것만으로도 그런 효과가 있다. 그렇게 생각할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북한과의 군사 협력은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지만, 국제사회에서 고립된 북·러 두 정상의 위험한 거래는 임박한 것으로 보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두희 (dh0226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913125546983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