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모로코 강진 현장엔 채널A 취재진이 들어가 있습니다. <br> <br>사망자가 3000명에 육박하지만 구조대와 자원봉사자 수는 턱없이 부족합니다. <br> <br>이런 처참한 상황에 도심 야시장엔 관광객이 몰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김기윤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모포로 현장을 수습하는 구조대원들. <br><br>생존자 대신 추가 사망자가 나오자 지켜보던 사람들은 착잡한 마음을 숨기지 못합니다. <br> <br>자원봉사자들까지 가세해 무너진 건물의 창문 틀을 뜯고 내부를 수색해보지만 좀처럼 성과가 나지 않습니다. <br> <br>이번 지진 발생지인 아틀라스산맥 산악 지역은 마을 자체가 쑥대밭이 됐습니다.<br> <br>[아이트 오우가디르 알후친 / 생존자] <br>"여기 93채의 집 모두 파괴 됐고, 제 여동생과 조카 등 제 가족 8명이 목숨을 잃었어요." <br> <br>지진 발생 닷새 째. 사망자는 3000명에 육박했습니다. <br> <br>이곳 마라케시 도심에도 보시는 바와 같이 무너진 건물 잔해가 그대로 방치 돼 있습니다. <br><br>자원봉사자나 구조대가 투입 됐지만 여전히 부족한 상황입니다.<br> <br>취재진이 만난 생존자들은 원시생활을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모크타르 / 생존자] <br>"(추가 강진 등으로) 사람들이 노숙을 하고 있어요. 정부의 도움이 절실합니다. 모두 상황이 안 좋습니다." <br><br>모로코 마라케시 구도심을 중심으로 야시장이 재개장돼 관광객이 몰리는 등 추가 강진 우려에도 거리 통제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그동안 프랑스 파리 호화 저택에 머문 것으로 알려진 무함마드 6세 모로코 국왕은 지진 발생 나흘 만에 병원을 찾아 부상자를 만나고 헌혈에 동참했지만 말끔한 양복 차림으로 나타나는 등 '보여주기식 뒷북 행보'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. <br> <br>또 세계 각국이 돕겠다고 나섰지만 스페인 영국 등 4개국만 승인하고 외교 관계가 불편한 나라에는 응답하지 않는 등 소극적인 태도도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모로코 마라케시에서 채널 A뉴스 김기윤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형새봄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