김정은과 푸틴 회담이 끝나자마자 미국 정부는 러시아와 관련한 대규모 제재를 추가로 단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그동안 '제재 구멍'으로 지목됐던 튀르키예와 핀란드 같은 동맹국 기업도 제재 명단에 포함시키며 제재 강도를 한층 끌어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 권준기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정부의 신규 제재 명단에는 러시아 최대 자동차 기업인 아브토바즈 등 150여 개 기업과 개인이 이름을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전쟁에 간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러시아 제조업과 건설업을 옥죄기 위해 제재 범위를 넓혔습니다. <br /> <br />반도체와 항공·철도 부품 등 무기로도 사용될 수 있는 이른바 '이중용품'까지 타깃으로 삼은 겁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바그너그룹에 무기를 전달하는 데 관여했던 개인도 제재 명단에 포함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북러 정상회담 이후 무기 거래를 용납하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던진 것으로 해석됩니다. <br /> <br />[매슈 밀러 / 미 국무부 대변인 : 북한 탄약을 러시아로 운반하는 데 관여했던 바그너그룹 관계자도 제재에 포함됐습니다.] <br /> <br />특히 이번 제재에는 나토 동맹국인 핀란드와 튀르키예 기업도 포함됐습니다. <br /> <br />중립 행보를 보이며 제재 우회로로 쓰인 나라를 더 이상 봐주지 않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매슈 밀러 / 미 국무부 대변인 : 제재 대상을 해당 국가에 미리 알리기도 하는데 이번에도 그랬는지는 모르겠습니다. 계속 알아보겠습니다. 우리는 중요한 동맹국인 튀르키예 정부와 건설적이고 따뜻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미 국방부는 북한과 러시아가 연합 군사훈련 가능성을 시사한 데 대해 그들의 의도는 알 수 없지만 한미와 한미일 공동 훈련을 막을 순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사브리나 싱 / 미 국방부 부대변인 : 러시아와 북한이 어떤 종류의 훈련을 하더라도 미국과 한국·일본과의 관계 발전을 막지 못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미국이 스웨덴 나토 가입의 키를 쥐고 있는 튀르키예 기업까지 신규 제재 명단에 포함시킨 건 그만큼 북러 정상회담 이후 제재 강도를 높이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해석됩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YTN 권준기 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권준기 (jkw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915062601377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