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북러가 밀착하자 한미 공조는 더 강화되는 모양새입니다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은, 현직 대통령으론 처음으로 인천 상륙작전 기념식을 주관했습니다. <br> <br>한미는 북러 군사협력에 대해 반드시 대가가 따를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. <br> <br>조영민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육지의 적군을 교란하기 위한 연막탄이 터지고, 상륙 고속정과 장갑차가 일제히 인천 해안가를 향해 돌진합니다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은 인천상륙작전 기념식을 주관하며 북한을 겨냥해 압도적 힘을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1960년부터 실시한 인천상륙작전 전승 기념식에 현직 대통령이 참석한 건 처음입니다. <br> <br>[제73주년 인천상륙작전 전승 기념식] <br>"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기반으로 한미일 안보 협력을 더욱 강화하면서 북한의 위협에 대한 압도적 대응 역량을 확보해 나갈 것입니다." <br> <br>윤 대통령은 북한의 노골적인 군사 위협으로 자유와 평화가 다시 도전에 직면했다며 강력한 국방력, 우방국과의 연대로 힘에 의한 평화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한미 국방차관, 외교차관들은 오늘 서울에서 확장억제전략협의체 회의를 열고 북러간 밀착 행보에 경고 메시지를 보냈습니다. <br> <br>[장호진 / 외교부 1차관] <br>"워싱턴선언에 따라서 한미간 관련 정보를 긴밀히 공유하면서 안보리 결의의 엄중한 위반에 대해서는 분명한 대가가 따르도록 공조해 나가기로 했습니다." <br> <br>또 평택 해군2함대사령부를 함께 찾아 북한의 어뢰 공격으로 침몰된 천안함을 시찰했습니다. <br><br>한편,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우리 기업인들과 함께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전격 방문했습니다. <br> <br>젤렌스키 대통령과 면담하고 약 3조 원 규모의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참여 논의를 진행했습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조영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한규성 조승현 <br>영상편집 : 정다은<br /><br /><br />조영민 기자 y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