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외국에서 들어와 토착 생태계를 파괴하고 병원균을 퍼뜨리는 침입 외래종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큰 골칫거리입니다.<br> <br>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외래종의 습격이 늘고 있는데, 이에 따른 경제적 피해 규모가 연간 500조 원이 넘습니다.<br> <br>정다은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장어를 잡기 위해 그물을 끌어올리자 다리가 파란 푸른 꽃게 여러 마리가 장어와 뒤엉켜 있습니다. <br> <br>이탈리아 동북부에선 푸른 꽃게 개체수가 급증해 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> <br>외래종인 푸른 꽃게가 장어, 홍합 등을 먹어 치워 양식업자들이 폐업 위기에 몰렸습니다. <br> <br>[에마누엘 로세티 / 생물학자] <br>"이 게들에 의한 포식은 계속되고 있습니다. 어민들은 사업을 접거나 1천 500개의 일자리를 잃을 처지에 놓였습니다." <br> <br>지난달 115명의 목숨을 앗아간 미국 하와이 마우이섬 산불을 키운 원인으로도 외래종 식물이 지목됐습니다. <br> <br> 기니그래스 등 가연성이 높은 외래종 식물이 하와이로 유입되면서 산불 당시 땔감 역할을 했다는 것입니다. <br> <br> 외래종이 유발하는 농어업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전 세계에 침입 외래종이 확산하면서, 연간 우리 돈 약 530조원 이상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유엔은 집계했습니다. <br><br>[헬렌 로이 / 유엔 생물다양성과학기구 공동의장] <br>"과거 수치와 비교해보면 (침입 외래종으로 인한 경제 손실은) 10년마다 4배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. 앞으로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할 이유가 없습니다." <br><br>우리 연안에 등장해 굴과 조개 양식장을 초토화시키는 아무르 불가사리와 유령 멍게도 유엔 보고서에 언급됐습니다. <br> <br>외래종은 국제무역 과정뿐만 아니라 바람과 해수의 흐름으로도 유입될 수 있어 경로 차단이 쉽지 않습니다. <br> <br> 일부 외래종 모기는 말라리아, 뎅기열, 지카바이러스 등을 옮기는 매개체 역할도 하고 있어 건강까지 위협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다은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이혜진<br /><br /><br />정다은 기자 dec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