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택 거래량이 늘면서 수도권 아파트값이 전고점의 85%까지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집값 오름세에 가계 빚 증가세도 좀처럼 꺾이질 않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이형원 기자! <br /> <br />부동산 시장 회복세에 아파트값도 오르고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수도권을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들썩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들어 거래된 수도권 아파트 최고가 평균이 전고점 대비 85%까지 회복된 건데요. <br /> <br />같은 단지의 동일 면적 수도권 아파트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입니다. <br /> <br />재작년 하반기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, 그리고 올해 들어 거래된 최고가 평균을 비교 분석한 겁니다. <br /> <br />구체적으로 보면 서울 평균이 올해 11억 1,600만 원에 육박해 전고점 12억 6천만 원대의 88%까지 회복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에서도 특히 용산구 97%, 강남구가 96%로 전고점을 넘보며 오름세가 가팔랐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도 아파트값은 올해 최고가 평균이 5억 2천만 원대로 전고점 평균인 6억 2천만 원대의 83% 수준까지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렇게 집값이 들썩이면서 가계 빚도 계속 늘고 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가계 빚 증가세는 좀처럼 꺾이질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달 들어 KB국민과 신한, 하나, 우리, NH농협 등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은 8천억 원 넘게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4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이 681조 6,216억 원으로 보름 만에 8,096억 원이나 급증한 겁니다. <br /> <br />지난 5월 이후 다섯 달 연속 가계 대출이 오름세를 보인 건데요. <br /> <br />현재 추세라면 8월 증가 폭인 1조 5,912억 원을 웃돌 가능성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가계 빚 증가세를 이끈 건 역시나 주택담보대출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보름 만에 증가 규모가 6,176억 원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부동산 시장이 들썩이면서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자, 빚을 내서라도 집을 사는 사람이 늘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신용대출도 3천억 원 넘게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부동산이나 주식 등에 투자 수요가 몰린 영향이 클 것으로 추정되는데요. <br /> <br />이번 달 말까지 이런 증가세가 유지된다면, 1년 10개월 만에 처음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이 반등하게 됩니다. <br /> <br />정부의 관리 강화에도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여전한 데다, 신용대출마저 늘면서 가계 빚에 대한 우려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경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형원 (lhw90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91710100131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