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자동차 3사 첫 동시파업…"전기차 전환 따른 불안이 뿌리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에서는 3대 완성차 업체의 사상 첫 동시파업이 며칠째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임금인상 폭을 놓고 노사가 팽팽하게 맞서 있는 상황인데요.<br /><br />그 근본 배경에는 전기자동차 시장의 확대에 따른 일자리 불안감이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준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현지시간 15일,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거리.<br /><br />자동차 제조사 노동자들이 '공정한 분배'를 요구하는 플래카드를 들고 거리를 행진합니다.<br /><br /> "기업들의 탐욕은 사라져야합니다! 기업들의 탐욕은 사라져야합니다!"<br /><br />미 3대 자동차 제조사가 가입한 전미자동차노조(UAW)의 동시 파업은 70여년 만에 처음으로, 노조는 향후 4년간 36% 임금 인상, 일자리 감소 대책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만약 기업들이 우리 조합원들에게 경제적, 사회적 정의를 공정하게 분배하지 않는다면, 우리는 압박을 더욱 강화하고, 파업을 확대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미국 언론들은 특히 이번 파업의 중심에는 전기차 시대로의 전환이라는 더욱 본질적인 문제가 가로 놓여 있다는 진단을 내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존 카세사 전 포드 전략담당 책임자는 "전기차로의 전환이 이번 협상의 모든 부분을 지배하고 있다"며 "향후 전기차 제조산업에서 노조가 어떤 핵심 역할을 할지 자리매김을 하는 것과 관련돼 있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이 같은 '기술혁신'에 대한 반발은 자동차 시장에서만 벌어지는 현상이 아닙니다.<br /><br />앞서 지난 7월에는 할리우드 작가, 배우들이 소속된 양대 노조가 처우 개선과 함께 인공지능이 일자리를 뺏지 못하도록 보장하라고 요구하며 60여년 만에 동반 파업을 벌였습니다.<br /><br />최신 기술에 대한 반발성 파업이 잇따르면서, 지난달 기준, 파업으로 인한 손실 근무일수는 410만 일로, 20여 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.<br /><br />뉴욕타임스는 신기술로의 전환이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란 두려움이 커져가는 가운데 노동자들이 임금 인상뿐 아니라 고용 보장도 요구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준삼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