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재인 전 대통령이 9·19 평양공동선언 5주년 기념식 인사말에서 “진보 정부에서 안보 성적도, 경제 성적도 월등히 좋았다”고 주장한 데 대해 대통령실이 19일(현지시간) “굴종적으로 겉으로 보이는 한산한 상황이 평화가 아니다”라고 반박했다. <br /> <br />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미국 뉴욕 프레스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관련 질문을 받고 “윤석열 대통령이 늘 말씀하는 것처럼 굴종적으로 겉으로 보이는 한산한, 평화로운 상황이 평화가 아니다. 압도적인 힘에 의해 구축하는 평화가 진정한 평화”라고 강조했다. <br /> <br /> <br /> 이 관계자는 “김대중 정부 때 서해교전에서 싸워 이긴 장병들을 옷을 벗기고 퇴진시킨 어이없는 일도 발생했고, 노무현 정부 때 1차 핵실험이 발생했으며, 문재인 정부 때 핵과 미사일 개발이 가속화됐다”며 “객관적으로 국민이 느끼기에 어떤 게 믿음직스럽고 활력 있는 평화이냐에서 판단 기준이 나올 것”이라고 말했다. <br /> <br /> 아울러 2018년 문 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맺었던 9·19 군사합의의 효력 정지 가능성도 시사했다. 이 관계자는 “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에도 북한이 공공연히 합의를 어겨오고 있고, 의도적으로 도발해오고 있다”며 “현 시점에서는 군사합의가 내포한 여러 문제점을 직시하고 관찰하고 있다”고 밝혔다. <br /> <br /> 그러면서 9·19 군사합의에 대해 “북한에게 절대적으로 불리한 감시 정찰 자산, 그리고 공군 해군력의 가동과 평상시 훈련에 대해서 비정상적으로 한국의 행동을 위축시켜 놓은 것”이라고 평하며 “이 합의를 잘 지켜도 북한은 없는 자산을 가동하지 않는 것이고 우리는 열심히 해오던 걸 중단하는 거라 문제가 크다”고 설명했다. <br />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193921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