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윤미향 의원의 2심 판결이 오늘 나왔습니다. <br> <br>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의 장례식 비용을 개인적으로 썼다는 횡령 혐의, 1심에서는 무죄였는데 2심에서 유죄로 판결나면서 의원직 상실형이 선고됐습니다. <br> <br>윤 의원은 반발하며 대법원까지 가보겠다고 합니다. <br> <br>먼저 김정근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지난 2020년 정의기억연대가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한 후원금을 유용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. <br> <br>[이용수 / 위안부 피해 할머니(2020년 5월)] <br>"저는 30년 동안 재주 넘었습니다. 그 돈은 몇 사람이 받아먹었습니다. 이런 것도 모르고 무엇을 용서를 바랍니까?" <br> <br>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을 지낸 윤미향 의원은 재판에 넘겨졌습니다. <br><br>기부금품법 위반, 업무상 횡령과 배임 등 모두 일곱 가지 혐의였습니다. <br> <br>1심 재판부는 대부분 혐의를 무죄로 판단하고 횡령 혐의 일부만 인정해 의원직이 유지되는 벌금형 1500만원을 선고했습니다.<br> <br>하지만 항소심 재판부는 재판 시작 3년 만에 의원직 상실에 해당하는 형을 선고했습니다. <br> <br>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한 겁니다. <br><br>항소심 재판부는 김복동 할머니 조의금 명목으로 기부받은 돈을 다른 용도로 쓴 혐의 인건비를 허위로 계산해 수천만원의 국가보조금을 받아낸 혐의 등을 유죄로 봤습니다.<br> <br>윤 의원의 횡령액도 1심이 인정한 1700만원에서 8천만원으로 크게 늘었습니다. <br> <br>윤 의원은 즉각 대법원 상고 의지를 밝혔습니다. <br> <br>[윤미향 / 무소속 의원] <br>"상고를 해서 제 무죄를 다시 한 번 입증해나가려고 하고, 이 일로 인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30년 운동이 폄훼되지 않도록…" <br> <br>윤 의원의 임기는 8개월 남짓 남아있어 대법원이 얼마나 빨리 형을 확정지을지가 관건입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김정근입니다 <br> <br>영상취재: 추진엽 <br>영상편집: 강 민<br /><br /><br />김정근 기자 rightroot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