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제르·아르메니아 무력충돌 하루 만에 휴전…평화 해법 찾을까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의 영토 분쟁 지역에서 무력 충돌이 재발한 지 하루 만에 휴전 합의가 이뤄졌습니다.<br /><br />잦은 마찰로 '캅카스의 화약고'로 불리던 이 일대의 긴장이 완화될지 관심이 쏠립니다.<br /><br />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아제르바이잔과 나고르노-카라바흐 지역 내 아르메니아계 자치 정부는 적대행위를 완전히 중단하기로 하고 후속 논의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자국민의 폭탄 테러 사망을 계기로 아제르바이잔이 이 일대에 포격을 가해 민간인을 포함해 수십명이 사망한 지 하루 만입니다.<br /><br />양국 국경인 나고르노-카라바흐는 국제법상 아제르바이잔 영토로 간주되지만, 아르메니아인들이 주로 살면서 분리를 주장해 왔습니다.<br /><br />사실상 승리를 선언한 아제르바이잔 정부는, 이번 협상을 나고르노-카라바흐를 재통합하는 '호기'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재자를 자처하는 러시아가 우크라니아전에 집중하는 틈을 노려, 분쟁의 싹을 자르겠다는 계산입니다.<br /><br /> "어제 오후 1시쯤 '대테러 작전'이 시작돼 성공적으로 끝난 결과 아제르바이잔은 주권을 회복했습니다."<br /><br />아제르바이잔은 자치 세력이 모든 군사 수단을 포기하면 주민 평화를 보장하겠다는 제안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나고르노-카라바흐의 행정 체계를 어느 수준까지 통합할지, 자치권을 어디까지 인정할지 등이 쟁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러시아와 튀르키예, 미국 등이 양측의 논의 과정에 어떻게 개입할지도 변수로 꼽힙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아르메니아에서는 '굴욕적 항복'에 반발하는 '반정부 시위'가 확산하고 있어 교섭이 타결되더라도 진통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 "30년 동안, 30년 넘게 싸워왔던 일인데 이제 모든 것이 수포로 돌아갔습니다. 우리는 그(니콜 파니샨 총리)가 떠나길 바랍니다."<br /><br />한편 러시아 국방부는, 나고르노-카라바흐 지역에 주둔 중이던 자국 평화유지군이 피격돼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고,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지선입니다. (sunny10@yna.co.kr)<br /><br />#아제르바이잔 #아르메니아 #러시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