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지난해 사망자 역대 최대…고령화·코로나 영향

2023-09-21 1 Dailymotion

지난해 사망자 역대 최대…고령화·코로나 영향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고령화와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지난해 사망자 수가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치매를 비롯한 노인성 질환 사망률이 높아졌고,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은 지난해 사망원인 3위로 기록됐습니다.<br /><br />박지운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전체 사망자 수는 37만2,939명으로, 재작년보다 17.4%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재작년에 이어 다시 한번 통계 작성 이래 최대를 기록한 겁니다.<br /><br />특히 고령화가 지속되면서 노인성 질환 사망률이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치매 사망률은 재작년보다 36.8%나 늘었고, 뇌혈관·고혈압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도 높아졌습니다.<br /><br />또,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 수가 3만1,280명으로 집계되면서, 재작년보다 2만6,000명 넘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는 암, 심장 질환에 이어 지난해 사망 원인 3위에 올랐는데, 코로나19가 상위 10대 사인에 포함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<br /><br />통계청은 코로나19 팬데믹 특수 요인이 사라진 영향으로 올해 사망자 수가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 "올해 코로나 사망자 추이를 보면 전년도와 비교해서는 많이 감소됐기 때문에…6월까지 사망자가 잠정적으로 나온 사망자만 보더라도 전년보다는 많이 감소돼 있는 상태…"<br /><br />한편, 지난해 극단적 선택으로 생을 마감한 사람은 1만2,906명으로 재작년보다 3.3%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등의 영향으로 다소 줄어들었지만, OECD 표준으로 계산한 자살률은 22.6명으로 여전히 OECD 1위 수준을 유지했습니다.<br /><br />자살은 10~30대에서 사망 원인 1위였고, 40~50대에선 2위였습니다.<br /><br />내년에 집계될 올해 사망자 수는 지난해보다 줄어들 전망이지만, 고령화로 인한 노인성 질병 증가와 여전히 높은 자살률 등이 사회적 과제로 남은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지운입니다. (zwoonie@yna.co.kr)<br /><br />#고령화 #자살률 #코로나19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