치매환자 100만명 넘는데…지역별 지원 격차 심해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인구 고령화와 함께 거론되는 문제가 바로 치매 환자 증가입니다.<br /><br />수도권 말고도 환자가 많은데, 관리·지원할 시설은 대부분 수도권에만 모여있는 실정입니다.<br /><br />최덕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올해 기준 전국 60세 이상 치매 환자는 102만 4,925명으로 추정됩니다.<br /><br />수명이 늘고 노령 치매 환자도 급증하면서 관리가 안돼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2020년 1월에는 충북 영동군의 한 국도에서 80대 치매 환자 A씨가 배회하다 차량에 치여 목숨을 잃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길거리를 배회하다 사망한 치매 환자는 지난 7년간 761명에 달합니다.<br /><br />치매를 진단하고 각종 지원 사업과 연계해 주면서 치매 예방 사업도 하는 치매안심센터가 전국에 있지만, 문제는 지역간 불균형이 커지고 있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전국 치매안심센터와 이들을 지원하는 협약병원은 256곳.<br /><br />서울, 경기, 인천에만 81곳으로, 전체의 약 32%가 몰려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치매안심센터 지원 대상자가 20만명이 넘는 대구에는 8곳뿐이고, 세종엔 1곳 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센터 한 곳당 협약병원 수도 서울의 경우 8.4곳에 달하지만, 강원은 1.6곳에 그칩니다.<br /><br />256개 센터 중 필수 인력마저 제대로 채용하지 못 한 곳은 전체의 74%인 191곳에 달했고, 직원 1명당 관리하는 환자 수가 최대 558명인 곳도 있습니다.<br /><br /> "지역별 의료격차, 의료인 수 격차가 문제가 좀 심각합니다."<br /><br />'치매극복의 날'이 지정된 지 10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갈 길이 먼 치매 환자 관리.<br /><br />전국 어디에 살더라도 충분한 의료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,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. (DJY@yna.co.kr)<br /><br />#치매 #100만 #길거리_배회 #지역격차 #치매안심센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