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동에도 핵 도미노 오나…사우디 "이란 핵 갖는다면 우리도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은 각각 이슬람 수니파 종주국과 시아파 맹주로 반목해 오다 올해 들어 7년 만에 외교 관계를 정상화했는데요.<br /><br />이례적으로 언론 인터뷰에 나선 사우디의 왕세자가 이란의 핵무기 보유를 견제하는 발언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한미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사우디아라비아의 실세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는 미국 폭스 뉴스와 인터뷰에서 이란의 핵무기 보유에 대해 "나쁜 행동"이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 "그들이 핵무기를 갖는다면 우리도 가져야 합니다. 안보상의 이유와 중동의 힘의 균형을 위해서요. 하지만 그러고 싶지는 않습니다."<br /><br />사우디와 이란은 지난 3월 중국의 중재로 관계 정상화에 합의하고 7년 만에 국교를 복원했지만, 이란에 대한 경계심을 늦추지는 않겠다는 말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이번 인터뷰는 조 바이든 행정부가 중동 지역 최고 동맹국이자 강대국인 사우디와 이스라엘의 국교 수립을 추진하는 가운데 나왔습니다.<br /><br />내년 대선을 앞둔 바이든 대통령은 외교 성과를 위해 두 나라의 관계 정상화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대해 무함마드 왕세자는 "좋은 협상이 진행 중"이라며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매일 가까워지고 있습니다. 진짜 처음인 것 같네요.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죠."<br /><br />다만 "팔레스타인 문제는 매우 중요하며 그 부분을 해결해야 한다"고도 언급했습니다.<br /><br />사우디는 그동안 이스라엘과 국교 정상화의 전제로 팔레스타인 독립을 제시해 왔고, 우파 성향인 이스라엘 정권의 양보가 이뤄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습니다.<br /><br />한편 이스라엘과의 수교 조건으로 사우디에 미국이 운영하는 우라늄 농축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이 방안이 실현된다면 사우디는 이란에 이어 공개적으로 우라늄 농축을 하는 두 번째 중동 국가가 됩니다.<br /><br />이는 중동 국가들의 핵능력 개발을 꺼려온 미국으로선 정책의 대전환을 의미하기도 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한미희입니다.<br /><br />#사우디아라비아 #이란 #이스라엘 #핵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