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오는 11월 4일 열리는 부산 불꽃축제를 앞두고 광안리 해변가 일부 가게들의 자릿세가 벌써부터 논란입니다. <br> <br>한 테이블 당 무려 100만 원입니다. <br> <br>터무니없이 비싸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단속할 근거는 없습니다. <br> <br>홍진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광안리 해수욕장에 자리한 한 주점이 내건 공지입니다. <br> <br>11월 4일 불꽃축제를 앞두고 최고의 명당을 예약하라는 건데, 문제는 가격입니다. <br><br>1인석은 15만 원, 루프탑 5인석은 100만 원. 8인석은 120만 원을 책정했습니다. <br> <br>여기에 음식값은 별도입니다. <br> <br>테이블당 안주 10만원 이상 주문해야 한다는 조건도 내걸었습니다. <br><br>너무 비싼 것 아니냐는 논란이 불거지자, 해당 지역 상인회 측은 바가지 요금은 아니라고 해명했습니다. <br> <br>공식 티켓 가격이 1인당 7~10만 원인 걸 감안하면 터무니 없는 가격은 아니라는 겁니다. <br> <br>[부산 수영구소상공인연합회 관계자] <br>"커피하고 담요하고 몇가지를 제공해 주더라고요. 그 정도면 너무 과하지 않다. (업주가) 너무 과하다고 느끼면 이야기를 해달라 금액 조정을 하겠다." <br> <br>하지만 시민들 반응은 싸늘합니다. <br> <br>특급 호텔도 아닌 식당에서 1백만 원 넘는 자릿세를 받는 건 너무한다는 반응입니다. <br> <br>[구본금 / 부산 사하구] <br>좋은 추억 만들수 있을 것 같아서 좋긴한데 100만 원 같은 경우 비싼 감은 없지 않아있어요. <br><br>부산 불꽃축제는 100만명 인파가 몰리는 지역 최대 축제, 전망 좋은 카페나 식당에서 축제날 수십만 원 이상 자릿세를 받으면서 바가지 논란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<br> <br>하지만 현행법 상 업주가 요금을 대폭 올려도 단속할 근거가 없습니다. <br> <br>상인들은 축제 기간 과도하게 자릿세를 받지 말자며 자정 노력을 하고 있다고 항변합니다. <br> <br>하지만 상인들과 시민이 생각하는 '적당한 가격'의 간극이 줄어들지 않는다면, 바가지 논란은 앞으로도 반복될 수 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홍진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덕룡 <br>영상편집 : 이희정<br /><br /><br />홍진우 기자 jinu0322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