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이스피싱을 당한 피해자들은 빼앗긴 돈을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. <br /> <br />경찰이 백억 원이 넘는 피해금이 가상자산 거래소에 묶여있던 사실을 확인하고 환급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어떻게 가능한지, 윤웅성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최근 보이스피싱 범죄 수익금이 코인 형태로 해외에 유출되는 사례가 많은 것에 주목한 경찰. <br /> <br />가상자산거래소와 대책을 논의하다,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보이스피싱 피해금 입금이 확인돼 이용 정지된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5곳의 339개 계정에 무려 122억 3천만 원이 남아있었던 겁니다. <br /> <br />경찰은 계좌 추적을 통해 피해자 503명을 특정했고, 이 가운데 지금까지 103명에게 40억 원을 돌려줬습니다. <br /> <br />4년 전 남편과 사별한 A 씨도 천만 원을 받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남편은 기존 대출을 낮은 이율로 갈아타게 해 준다는 말에 속아, 보이스피싱 조직에 천6백만 원을 건넨 뒤 속앓이를 하다 암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났습니다. <br /> <br />[A 씨 / 보이스피싱 피해자 부인 : 저도 솔직히 믿기지 않았어요. (하늘에 간) 남편이 진짜 많이 도와주나 보다. 저희 어려운 형편에….] <br /> <br />현행법상 시중 은행끼리는 서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서 지급정지와 피해금 환급이 모두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다만, 가상자산거래소는 금융기관으로 취급되지 않아 동결까지만 가능하고 환급은 이뤄지지 않는데, 이번엔 경찰이 묶여 있던 거래소 계정의 입금 내역을 역추적하면서 피해자들에게 돈을 돌려줄 수 있게 된 겁니다. <br /> <br />[심무송 /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 수사1계장 : 현행법과 제도의 미비 때문에 피해자들이 신속한 환급을 받지 못할 수밖에 없었던 빈공간을 경찰 활동을 통해서 메꿀 수 있었다.] <br /> <br />경찰은 앞으로도 가상자산거래소에서 보이스피싱 피해자들의 돈이 추가로 확인되면 계속해 환급 절차를 밟아나갈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경찰은 피해금을 돌려주는 과정에서 거래소나 경찰관이 돈을 요구하는 경우는 없다며, 혹시 모를 추가 사기에 주의를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윤웅성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웅성 (yws3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927122946182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