원-달러 환율, 개장과 동시에 연고점 경신 <br />어제보다 0.8원 오른 1,349.3원에 마감 <br />단기 급등 우려·위안화 약세 진정…상승 폭 축소 <br />美 긴축 기조 경계심에 안전자산 선호 강해져<br /><br /> <br />원 달러 환율이 하루 만에 또 연고점을 경신했습니다. <br /> <br />장중 한때 1,356원까지 오른 환율은 상승 폭을 줄여나갔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미국 긴축 장기화 가능성에 중국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한동안 달러 강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엄윤주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한국거래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연고점을 하루 만에 경신한 원 달러 환율 어떻게 장을 마감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개장과 동시에 연고점을 넘어선 원 달러 환율은 어제보다 0.8원 오른 1,349.3원에 장을 마쳤습니다. <br /> <br />간밤 글로벌 달러화 강세를 반영하며 단숨에 1,355원으로 개장한 환율은 장 초반 1,356원까지 올랐는데요. <br /> <br />이후 단기 급등에 따른 부담감이 유입되고 위안화 약세가 진정되면서 1,340원대 후반까지 상승 폭을 줄여나갔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달러 강세가 지속하는 건 미국 긴축 기조 장기화 경계심과 함께 안전자산 선호와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맞물린 영향이 큽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주요 통화들과 비교해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도 최근 10개월 사이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미국 의회가 내년 예산안에 아직 합의하지 못해 셧다운 우려까지 나오는 것도 악재입니다. <br /> <br />유럽 경기 부진과 중국의 부동산 위기 등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는 것도 우리 시장에는 부정적인 요소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중국이 경기 회복을 위해 각종 부양책과 함께 시중에 막대한 유동성을 공급하고는 있지만, 여전히 살아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관련해 정부는 최근 원-달러 환율은 달러화 강세에 따른 주요국 환율과 비슷한 흐름으로 보인다면서도, 특별한 요인 없이 투기적 요인이 심해지는 등 시장 불안이 나타나면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추경호 / 경제부총리 : 굉장히 한쪽에 쏠림 현상이 있어 불안 양상이 과도하게 나타날 경우 당국은 필요할 때 시장 안정조치는 해나갈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이런 상황에서 우리 시장은 모두 상승 마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스피는 어제보다 0.09% 오른 2,465.07로 거래를 마쳤고, 코스닥지수도 어제보다 1.59% 오른 841.02로 장을 종료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한국거래소에서 전해드... (중략)<br /><br />YTN 엄윤주 (eomyj101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927164157015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