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과 중국이 앞다퉈 세계무역기구 WTO 개혁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문제의 원인과 해법은 정반대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동상이몽의 배경이 무엇인지, 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이 WTO 개혁을 주제로 집단학습을 진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시진핑 주석은 이 자리에서 미국을 겨냥한 작심 발언을 쏟아 냈습니다. <br /> <br />[중국 관영 CCTV (시진핑 발언 보도) : 일방주의와 보호주의를 반대하고, 경제·무역 문제의 정치화, 무기화, 불안전화에 반대합니다.] <br /> <br />중국을 산업망에서 배제하려는 '디리스킹' 전략이 WTO 무력화의 배경이란 점을 부각한 겁니다. <br /> <br />이어, 지구촌 남반부 저개발 국가 '글로벌사우스' 중심의 WTO 개혁 방향을 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이 여전히 개발도상국이라는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중국 관영 CCTV (시진핑 발언 보도) : 세계무역기구 개혁에 전면적으로 참여해 중국의 방안을 구체화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시 주석의 이런 발언은 최근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국제기구 개편 움직임을 의식한 걸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앞서 미국은 WTO 재편 필요성을 먼저 제시하면서 중국의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이유로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[캐서린 타이 /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: 그들이 수많은 상품과 기술의 공급 우위를 점하면서 공급망 집중과 취약성을 만들어 내고, 이는 다시 경제적 강제의 지렛대로 작용합니다.] <br /> <br />G2로 성장한 중국의 개발도상국 지위 박탈과 함께 규제 확대를 추진하려는 의도가 엿보입니다. <br /> <br />[캐서린 타이 /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: 경제 대국이 덜 발전한 구성원들과 같은 유연성을 요구하며 제도를 농락하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코로나19 대유행과 우크라이나 전쟁을 거치며 세계 경제 질서엔 분단선이 그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미중 패권 경쟁 속에 공급망 재편도 가속화되면서 WTO 자유무역 체계의 그간이 흔들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중국이 한목소리로 WTO 개혁을 외치면서도 정반대의 진단과 처방을 내놓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92822572166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