명절 연휴 기간 화재 피해를 주의해야 할 곳 가운데 하나가 전통시장입니다. <br /> <br />점포가 밀집된 데다가 협소한 장소에 노후화된 전기시설이 많기 때문인데 대응은 여전히 미흡합니다. <br /> <br />차유정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일 추석을 1주일여 앞두고 광주시의 한 전통시장에서 불이 났습니다. <br /> <br />점포 10여 곳을 태우고 30분 만에 꺼졌는데 선풍기 과열이 원인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재작년 경북 영덕시장에서도 추석 대목을 코앞에 두고 불이 크게 났고 <br /> <br />2020년에도 추석 전 서울 청량리 시장에서 불이 나 24억 원 넘는 피해가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소방청 집계를 보면 전국의 전통시장에서 한 달에 5번꼴로 화재가 발생합니다. <br /> <br />원인을 보면 전기적 요인이 가장 많습니다. <br /> <br />시장 특성상 노후 전선이 많은 데다가 좁은 곳에 전기시설이 많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김주연 / 안양호계 종합시장 상인 : 전통시장에 화재가 많이 나는데 걱정이 많이 되죠. 누구한테 물어봐야 하는지 모르겠고 전기설비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모르겠고….] <br /> <br />점포가 밀집돼 있어 화재에 취약하고 소방차 통행로도 넓지 않아 초기 진화가 쉽지 않은 측면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사람들이 많이 모여들고 화기 사용이 늘어나는 명절 기간에는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명절에 상품 적재량이 많아도 차단기 부근을 치워두고 <br /> <br />몰린 인파에 전선이 훼손되지 않도록 전선을 늘 정리해둬야 한다고 말합니다. <br /> <br />과부하 예방을 위해 콘센트 하나에 여러 전기 제품을 사용하지도 말아야 합니다. <br /> <br />[손임철 / 전기안전공사 경기서부지사 과장 : 명절 같이 사람이 많이 붐비는 시기엔 바닥에 전선 밟으면 피복 손상되고 전기 화재 위험이 있기에 관리에 주의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화재 대응 시설 확충도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현재 화재 대응에 도움이 되는 '환자 알림시설 설치율'은 전국 시장 5곳 가운데 1곳꼴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대형 화재 예방을 위해선 정부와 지자체 등에서 사전 점검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차유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차유정 (chayj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929005015084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