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제 이렇게 다 차려놓고 제사 지내는 가정은 점점 줄어들고 있죠. <br> <br>차례, 성묘 추석 풍경이 바뀌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혜주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추석을 맞아 차례상 준비에 나서는 강현민 씨 가족. <br> <br>직접 음식을 장만하는 대신 노트북 앞에 모여 앉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평소에 아버지가 좋아하셨던 걸 좀 올리고 싶은데 뭐 좋아하셨나. (막걸리) 두 개." <br> <br>차례상에 올릴 음식 이미지를 고르면 10분도 안 돼 차례상이 완성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모처럼 오늘은 조카들까지 하고 와서 너무 좋네요. 많이 드시고 가십쇼." <br> <br>누구나 무료로 이용 가능한 온라인 차례 서비스로 코로나19 당시 본격 운영된 이후 올해 설에도 20만 명 가까이 이용했습니다.<br> <br>온라인 차례상 덕분에 교통 체증 속에 성묘 나설 걱정도, 차례 음식 만드느라 고생할 일도 없어졌습니다. <br><br>[강현민 / 온라인 성묘 이용객] <br>"가족 여행을 갔을 때 어디서나 이런 추모를 하면서 많은 대화를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참 좋은 것 같습니다." <br> <br>간편해진 건 차례상뿐만이 아닙니다. <br> <br>보관하기 어려운 병풍 대신 휴대폰을 텔레비전에 연결해 이미지를 진짜처럼 화면에 띄워주는 '디지털 병풍'도 인기입니다. <br> <br>한자 세대가 아닌 젊은이에겐 너무나 어려운 지방 쓰기. <br> <br>차례 모실 분의 성씨 등만 입력하면 차례상에 올릴 지방도 간편하게 출력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[이정준 / 신한카드 사내벤처] <br>"지방 같은 경우에는 인쇄 배송 서비스를 신청하시는 분들이 점점 늘고, 차례나 제사 같은 것들이 없어지는 것보다는 간편하게 해서 좀 이어나갈 수 있으면…" <br> <br>변해가는 시대에 맞춰 조상을 기리는 모습도 다양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혜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이승헌 최혁철 <br>영상편집 방성재 <br><br><br /><br /><br />이혜주 기자 plz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