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물가·고환율·고금리…"IMF 때 이후 제일 힘들어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환율과 금리, 물가가 모두 높은 상황에 놓이다 보니 기업하기 참 어렵다는 얘기가 많습니다.<br /><br />수출 부진으로 일감도 많이 줄어 중소업체들은 그야말로 생존 위기에 처했다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소 제조업체가 모인 서울의 기계공업 전문단지 온수산단입니다.<br /><br />공업용 펌프를 만들어 파는 이 업체는 환율이 1,300원을 넘어선 뒤로 금속 부품값이 올라 이윤이 크게 줄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값싼 중국산에 밀려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까 제품값을 크게 올릴 수도 없습니다.<br /><br /> "달러로 지불을 하다 보니까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는 거죠. 환율이 높으니까 수입 물품에 대해서 대금 지불을 하다 보니까..제일 힘들었을 때는 IMF 때. 그다음에는 요즘."<br /><br />고물가에 애를 먹는 기업이 설비 투자를 꺼리고, 중국 경기 침체로 수출도 좋지 않아 일감이 많이 줄었단 게 공통된 얘기입니다.<br /><br /> "우리보다 큰 공장들이 잘 돌아가야 해요. 그래야 연쇄적으로 하는 건데 지금은 확실히 (경기가) 죽어있으니까..."<br /><br />이 산업단지에서는 이렇게 빈 공장들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경기가 워낙 안 좋다 보니까 일을 하지 않거나 아예 문을 닫는 곳들도 늘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올해 8월까지 전국 법원에서 접수된 기업들의 파산 신청 건수는 1,034건.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4%나 급증한 수치입니다.<br /><br />내수라도 살려야 하지만 높은 금리와 물가가 발목을 잡고 있는 상황.<br /><br /> "다른 물가는 너무 많이 올랐는데, 채소라든지 과일, 엄청 많이 올랐어요."<br /><br />세계 금융 기관들은 최근 주요 국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잇달아 올렸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우리 경제의 반등 가능성엔 의문을 던지며 기존 1%대 중반의 성장률을 유지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 trigger@yna.co.kr<br /><br />#환율 #금리 #온수산단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