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인공지능 AI, 똑똑해서 쓰는 거죠. <br> <br>그런데 서울시가 외로운 독거노인들 안부 점검하라고 도입한 AI가 똑똑하지 못해서 문제입니다. <br> <br>일주일에 한번 정도 전화를 거는데 “몸이 아프다”고 얘기하면 정말 다행이라는 답변이 돌아옵니다. <br> <br>홍란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[현장음] <br>"안녕하세요. 저는 서울시 AI 상담사에요."<br> <br>독거 노인 등 1인 가구에 주 1회 인공지능, AI가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안부를 묻는 서비스입니다. <br> <br>서울시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얼마나 잘 되는지 시연해봤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다리 수술했는데 허리가 몹시 아파서 거동하기 힘들어요 아주." (네, 건강 괜찮으시다니 정말 다행이에요.)<br> <br>[현장음] <br>(혹시 요즘 외로움을 느끼고 계신가요?) "항상 외롭지요." (네 또는 아니오로 대답해주세요.) 아니오. 집에 있어도 우울하니까…(네, 답변 감사드리고 오늘 답변 주신 통화 내용은 담당자에게 전달해드릴게요.)<br><br>AI가 이상 답변을 감지하면 동주민센터로 자동 접수되는데, AI의 음성 인식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[박은순 / 79세] <br>"아프다는 것이 제일 중요한데 인지를 못 한다는 게 그게 제일 첫 번째 문제라고 생각했고…" <br> <br>AI 안부전화 대상자는 1만 4천여 명, 올해 서울시 예산 6억 6천만 원이 투입됐습니다. <br> <br>[김경 / 서울시의회 의원 (더불어민주당) ] <br>"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하는 것이 비용도 절감되고 효과성도 높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서울시는 음성인식 기술의 한계를 인정하면서도 1인 가구가 급격히 늘고 있어 행정 공백을 줄이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해명했습니다.<br><br>또 데이터를 축적해 음성인식 기술을 보완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홍란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박희현 <br>영상편집 : 이희정<br><br><br /><br /><br />홍란 기자 hr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