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시가 '도시공간 대개조'에 나섭니다. <br /> <br />초고층 고밀 개발을 하되 지하는 교통 연계, 지상은 시민들이 즐기는 공공공간을 확보하는 복합개발 방식인데요. <br /> <br />뉴욕 맨해튼에서 해답을 찾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종균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뉴욕 맨해튼에서 가장 높은 104층, 높이 541m의 세계무역센터 '1 wtc'입니다. <br /> <br />9·11 테러로 무너진 쌍둥이 빌딩 부지에 다시 지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곳 지상엔 추모시설과 녹지공간이 조성됐고, <br /> <br />지하엔 교통 허브 '오큘러스'가 쇼핑몰과 함께 들어서 있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의 블럭 단위 친환경 도심 개발의 대표 사례입니다. <br /> <br />[피터 템플턴 / USGBC 회장 : 이 프로젝트는 비극(9.11 테러)에 대한 미국의 회복력뿐만 아니라 국가 번영에 우리가 어떻게 새로운 개발 모델을 제시해야 할지 영감을 주는 상징이라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맨해튼 서쪽 허드슨 강변, <br /> <br />낡은 철도 기지창 부지가 빽빽한 빌딩 숲으로 변신했습니다. <br /> <br />100층 높이 야외전망대 '엣지', 유리 바닥 아래로 뉴욕 전경이 한눈에 보입니다. <br /> <br />지상엔 공연과 전시가 열리는 복합문화시설 '더 쉐드'(the shed), <br /> <br />벌집 모양의 이뤄진 이색구조물 '베슬'(vessel)이 뉴욕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자리 잡았습니다. <br /> <br />또 이 '허드슨 야드' 아래에는 열차가 계속 다니고 있는데 사실상 공중 도시를 만들어 올린 것입니다. <br /> <br />[김반홀스베케 /초고층 설계사 SOM 대표 : 특히 고밀 개발이 이뤄지는 도시는 이런 공공성을 띤 공공장소가 기여하는 바가 큽니다. 공공장소가 얼마나 잘 갖춰져 있느냐에 따라서 그 지역사회의 성공의 여부가 달려 있는 거죠.] <br /> <br />뉴욕 그랜드센트럴역 바로 옆에 지상 93층의 원 밴더빌트! <br /> <br />지하로 기차역과 연결해 승객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. <br /> <br />꼭대기 3개 층엔 바닥, 천장, 벽이 모두 유리인 전망대 '서밋'을 설치해 연중 뉴욕 방문객들이 찾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원 밴더빌트는 주변 낮은 건물의 공중권을 사서 초고층으로 지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뉴욕의 입체복합개발 방식은 서울 도시공간 대개조에 참고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오세훈 / 서울시장 (지난 20일, 뉴욕) : 조금 멀리 보면 이제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이 있는데 그것도 역시 공공 공간을 어떻게 확보할지 지상에는 어떻게 확보하고 공중에는 어떻게 확보할지 이곳 사례를 통해서 많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가 있었습니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종균 (chong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100306302752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