원-달러 환율이 1,360원으로 상승 출발하며또다시 연고점을 새로 썼습니다. <br /> <br />긴축 기조가 길어질 수 있다는 미국 연준의 전망에증시도 모두 하락 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이형원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국거래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환율이 또 연고점을 찍었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오늘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-달러 환율은 1,360원으로 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연휴 전 마지막 거래가 있었던 지난달 27일보다 10원 넘게 올랐는데요. <br /> <br />장이 열리자마자연고점인 1,356원을 뛰어넘은 겁니다. <br /> <br />장 초반 오름세에 1361.7원까지 급등했던 환율은 현재 1358원대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환율이 고공행진하는 건 미국 긴축 기조가 시장 예상보다 길어질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미 연방준비제도는내년 금리 전망을 높이면서 긴축 장기화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에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을 이어가는 데다 <br /> <br />미국 노동시장 지표가 여전히 견조하게 나타난 것도 매파적 정책 기조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탓에 안전 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지면서 <br /> <br />미국 국채 금리는 2007년 이후 1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상대적으로 위험 자산으로 분류되는 원화 값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겁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위험 자산 회피 심리가 커지면서 우리 증시도 출렁였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코스피는 1.19% 내린 2,435.78로 시작했는데요. <br /> <br />내림세가 이어지면서 현재는 2417대까지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코스닥도 1% 넘게 떨어진 832.3으로 출발해 지금은 820대로 낙폭이 더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환율과 증시 모두 출렁이는 모습에 한국은행은 오늘 오전 시장 상황 점검 회의를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자리에서 유상대 부총재는 미 연준의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이 커지면서 <br /> <br />글로벌 채권금리가 상당 폭 오르고 있는 데다 국제 유가도 높은 수준을 지속하는 등 <br /> <br />대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높다고 진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국내 금융·외환시장도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며, <br /> <br />경계심을 갖고 모니터링하며 필요한 경우 시장 안정화 조치에 나서겠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한국거래소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형원 (lhw90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00409530967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