윤석열 대통령은 6일 “교사의 교권이 확립돼야 학생의 학습권과 인권도 보장된다”며 “교권 없는 학생의 인권과 학생의 권리라고 하는 것은 공허한 이야기”라고 말했다. <br /> <br />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초등·중등·고등학교 및 유치원, 특수학교 소속 등 교사 20명을 용산 대통령실로 초청해 간담회를 가졌다. 서이초 교사도 참석했다. <br /> <br /> 교사들과 테이블에 둘러앉은 윤 대통령은 “교권 대 학생 인권으로 대립적으로 생각할 것이 아니라 교권을 결국 학생을 도와주고 학생의 제대로 배울 수 있는 권리를 지켜주는 학생의 권리로 봐야 한다”고 말했다. <br /> <br /> 윤 대통령은 최근 국회를 통과한 ‘교권 보호 4법’과 관련해 “취임한 이후로도 이 문제를 제기하고 법안을 만들어서 우리 당에서 국정과제로 제출하게 해 어렵게, 어렵게 여기까지 왔다”고 말했다. 지난 9월 21일 국회 본회의 문턱을 넘은 ‘교권 보호 4법’은 교원의 지위 향상 및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(교원지위법), 초·중등교육법, 유아교육법, 교육기본법 등 4개 법률의 개정안으로, 교원이 아동학대로 신고됐더라도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직위해제 처분을 금지한다는 규정 등이 담겼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간담회에서 윤 대통령은 최근 잇단 교사들의 극단적 선택과 관련해 “비통한 소식”이라며 “정부는 일선 현장을 교사만큼 잘 알지 못한다. 디테일한 것을 교육 당국에 가감 없이 개진해달라”고 말했다. <br /> <br /> 그러면서 교사·학부모 사이 갈등 문제도 언급했다. 윤 대통령은 “남한테 사랑과 은혜와 혜택을 받고 뒤로 돌아서서 그 사람을 욕하면 아무리 많은 지식을 주입한다고 해도 우리 사회에 그야말로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197568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