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 정찰위성 3차 발사 임박…항저우 아시안게임 폐막 이후 관측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은 지난 8월 정찰위성 2차 발사 실패를 인정하면서 10월 중 3차 발사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북한 노동당 창건일인 10일이 다가오면서 정찰위성 발사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는데요.<br /><br />최근 러시아가 북한에 우주기술 지원을 시사한 만큼 3차 발사 성공 여부에 관심이 쏠립니다.<br /><br />지성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'국방력 발전 5대 중점 목표' 중에서 군사용 정찰위성 개발에 무엇보다 큰 관심을 쏟았습니다.<br /><br /> "군사정찰위성 개발사업은 우리 무력의 발전 전망과 싸움 준비를 철저히 갖추는 데서 매우 큰 의의를 가집니다."<br /><br />그러나 북한은 지난 5월 31일 정찰위성 첫 발사와 8월 24일 2차 발사에 연거푸 실패하면서 체면을 구겼습니다.<br /><br />2차례 실패 모두 운반 로켓 고장이 원인이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2차 발사 실패 당일 "오는 10월에 정찰위성 3차 발사를 단행할 것"이라고 예고했습니다.<br /><br />정찰위성 3차 시도 날짜와 관련해 주요 명절인 노동당 창건일, 10일을 앞두고 발사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북한이 중국의 체면을 고려해 항저우 아시안게임 폐막 이후부터 이달 중순 베이징에서 열리는 '일대일로 정상 포럼' 이전 기간을 도발 시점으로 선택할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립니다.<br /><br />일대일로 구상 발표 10주년을 맞아 열리는 정상 포럼을 계기로 중러 정상회담도 열리는 만큼 북한으로선 신중하게 접근하지 않겠냐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정찰위성 3차 발사 준비 과정에 러시아의 기술 지원이 있었는지도 관심입니다.<br /><br />지난달 러시아를 방문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갖기 직전 푸틴 대통령은 북한의 인공위성 개발을 돕겠다며 로켓 등 우주기술 지원을 시사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의 기술 지원과 관련해 우주과학자들이 파견돼 북한이 제작한 운반 로켓의 결함 보완 작업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거론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 (yoonik@2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