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건지소는 갈수록 심해지는 지역 의료공백의 최후의 보루로 꼽히는데요, <br /> <br />줄어드는 공중보건의 수 때문에 전국적으로 의사 없는 보건지소가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조용성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문을 연 지 42년 된 경기도 외곽의 보건지소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환자 접수처와 공중보건의 사무실 모두 불이 꺼져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서 대리처방을 해줘요. 그래서 처방전 받으러 왔다가 안돼서 그냥 가는 거예요. <br /> <br />병역법에 따라 의대생은 일반 병사로 복무하는 대신 공중보건의로 근무할 수 있는데, 지자체에서 배정받은 수가 적어서 일주일에 이틀만 문을 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송원철 / 가평군청 보건행정팀장 : 현재 순환 근무하는 공보의들은 격일제로 한곳에서 하루 근무하고 그다음 곳으로 이동해서 또 하루, 그렇게 해서 매일매일 격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그러다보니 공중보건의가 근무하지 않는 날 이곳을 찾은 환자들은 헛걸음하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최소 1명씩 배치돼야 하는 보건지소에 공중보건의가 부족해, 1명이 여러 곳을 맡아서 순환근무를 하는 것은 전국적인 현상입니다. <br /> <br />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천2백여 개 보건소 가운데 공보의가 없는 곳은 340곳. <br /> <br />비율로 보면 충북은 45%가 비었고, 전북과 세종, 경남 순으로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천 명당 활동하는 의사 수를 보면 서울과 광역시를 제외한 지역들이 하위권을 차지해 지역의 의료공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공보의가 부족한 이유는 18개월 복무하는 일반 병사보다 기간이 두 배로 길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의료공백이 이어지자 전라남도와 경상북도는 손을 맞잡고 부속병원을 유치할 수 있는 국립 의대 설립을 요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철우 / 경상북도지사 :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생명권과 건강권은 지방에 산다는 이유로 차별받아서는 안 될 헌법상의 권리이며….] <br /> <br />하지만 부속병원 한 곳에 1조 원이 넘는 비용 문제와 함께, 졸업한 의대생이 지역에 남아있을지 보장이 없어 고민이 뒤따릅니다. <br /> <br />우선 정부는 17년째 3천 명으로 제자리걸음하고 있는 의대 정원을 늘리는 게 의료 불균형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 전문가들이 모인 보건의료정책 심의 위원회에서 논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조용성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: 왕시온 <br /> <br />그래픽: 우희석·홍명화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조용성 (choys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00905300001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