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 매체에서 최근 들어 스마트폰을 활용한 전자 결제와 같은 '전자상업' 발전을 다그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북한 주민들은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폰 게임에도 푹 빠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7월 북한 매체의 대륙간탄도미사일, ICBM 화성-18형 시험발사 보도에서 관심을 끈 건 김정은 국무위원장 앞 탁자 위에 놓인 스마트폰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에서도 이 같은 스마트폰 보급이 꾸준히 늘면서 어느덧 주민들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은 모양새입니다. <br /> <br />수도 평양의 경우 20대에서 50대의 절반 이상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북한판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상품 거래도 이뤄지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북한 매체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전자결제와 같은 전자상업의 발전을 이룩하는 게 중요하다며 스마트폰으로 원하는 상품을 즉시 구매할 수 있도록 발전시켜 나갈 것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 당국이 최근 들어 '전자상업' 발전을 다그치고 있는 건 코로나19 사태로 잠갔던 국경을 개방한 것과 맞물려 경제 활성화를 위한 포석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[전영선 /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 교수 : (전자상업 발전을 강조하는 건) 국경 개방과 관련해서 관광이라든가 국제무역 활성화되는 것에 맞춰서 주의를 환기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북한에선 스마트폰에서 다양한 형태의 게임을 즐기는 주민도 늘어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KDB미래전략연구소 보고서를 보면 북한 게임은 기기 내에 앱을 기본적으로 탑재한 아케이드 게임 위주로 유통되고 있는데 실제론 외국 게임을 불법 개조한 게임들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엔 근거리 블루투스 방식과 홈페이지 직접 제공 방식의 다중사용자 참여형 게임이 인기를 얻고 있다는 것도 특징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북한 스마트폰 게임의 발전 가능성엔 한계가 뚜렷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북한 당국이 불특정 다수의 참가자가 온라인을 통해 대전하는 방식의 게임을 금지하는 점 등이 게임 발전의 장애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두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두희 (dh022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100909240751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