하마스, 왜 공격했나…'중동 데탕트' 찬물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돌연 이스라엘에 대한 기습 공격에 나선 배경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중재로 진전을 이뤄가던 이스라엘과 아랍권 국가 간 화해 모드를 견제하기 위한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윤석이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팔레스타인 하마스의 이번 공격은 지난해 12월 출범한 이스라엘 네타냐후 '극우 연정'의 억압적인 정책을 표면적인 이유로 꼽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'두 나라 해법'을 제시했던 1993년 오슬로 합의가 사문화되면서 팔레스타인 평화협정이 실종된 것도 한 배경입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무엇보다 가자지구와 저항군, 주민들을 위협하는 것이 성공가능성이 없다는 점을 확신시키고자 합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실제로는 미국 주도로 이스라엘과 아랍권 국가 간 관계 정상화가 이뤄지고 있는 현 정세가 주된 원인이란 분석이 많습니다.<br /><br />팔레스타인 문제 해결없이 외교적 협상만으론 중동의 평화를 가져올 수 없다는 점을 폭력적인 방식으로 드러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 "이것은 저항의 표명이자 가짜 시온주의 정권(이스라엘)에 맞서 대항하는 것 입니다."<br /><br />이스라엘은 2020년 미국 중재로 아랍에미리트, 바레인 등과 관계 정상화를 위한 '아브라함 협약'에 서명했고, 사우디아라비아와도 최근 국교 수립을 추진해왔습니다.<br /><br />중재자 역할을 해온 미 행정부는 이번 충돌이 이른바 '중동 데탕트'에 찬물을 끼얹을까 우려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 간의 관계 정상화가 이 지역에 좋은 일이라는 점을 분명히 해왔습니다."<br /><br />입장이 난처해진 사우디 외교부는 "팔레스타인의 정당한 권리 박탈에 대한 위험성을 경고해왔다"며 일단 팔레스타인 편에 섰습니다.<br /><br />이스라엘과 아브라함 협정을 맺은 다른 아랍 국가들도 다시 거리두기에 나서며 중동의 긴장이 다시 고조될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TV 윤석이 입니다. (seokyee@yna.co.kr)<br /><br />#이스라엘 #하마스 #중동_데탕트 #미국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