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으로 외국인 사상과 실종 사례도 속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중국과 러시아의 피해가 큰 데, 중립을 표방하며 오히려 하마스를 두둔하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이유는 뭘까요? 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무장 요원들이 도로에 난입하자, 차량 탑승객들이 납작 엎드립니다. <br /> <br />중국인 승객들을 태운 이 승용차는 탈출을 시도하다가 습격을 당해 1명이 총상을 입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스라엘 거주 중국인 (지난 7일) : 앞 유리를 뚫고 들어 온 총알이 보조석을 관통하면서 승객이 총에 맞았습니다.] <br /> <br />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의 기습으로 이스라엘에 머물던 중국인 3명이 총에 맞고 4명이 실종된 걸로 파악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SNS에선 인질로 잡혀가는 중국계 혼혈 여성의 영상이 공유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포로로 잡혀가는 중국계 여성 (지난 7일) : 죽이지 마세요! 안돼! 안돼!] <br /> <br />그런데도 중국 정부는 중립 표방하며 구체적인 피해 상황을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3월 이란과 사우디 사이를 중재한 중국, 6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에 이어, 연내에 이스라엘 총리의 방중을 초청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[왕원빈 / 중국 외교부 대변인 : 중국은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충돌의 지속적 격화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고, 당사자들에게 즉각적인 휴전을 촉구합니다.] <br /> <br />러시아의 경우 1명이 숨지고 9명이 실종됐습니다. <br /> <br />실종자 가운데 일부는 이스라엘의 보복 공격을 막기 위한 하마스의 인질이 됐을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러시아 역시 중립 깃발을 들었고, 팔레스타인이 감사를 표시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과 러시아 모두 이스라엘-팔레스타인 '두 국가 체제'를 해법으로 제시하면서 중동에서 미국의 공백을 꿰차려 한다는 공통점을 지닙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101020411061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