외국인 관광객이 주로 찾는 명동은 한 때 '바가지' 가격에 물건을 판다는 오해를 받기도 했죠. <br /> <br />이제는 모든 상품에 가격표가 붙게 되는데, 서울시와 상인회가 나서 이달부터 가격 표시제를 시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어떤 변화가 있는지 보기 위해, 권준수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돌아온 외국인 관광객들로 다시 붐비고 있는 서울 명동 거리, <br /> <br />평일도 손님을 맞이하느라 바쁠 정도로, 코로나19 사태 이전 활기를 되찾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외국인들이 많이 찾는 상품마다 가격표 스티커도 빼곡히 붙어있습니다. <br /> <br />[안나 / 미국 관광객 : 전 가격표를 보는 게 좋아요. 가격을 물어보는 게 겁나기도 하고 괜히 더 많이 돈을 내긴 싫거든요. 그래서 가격표가 있는 게 되게 도움이 돼요.] <br /> <br />과거엔 손님이 가격을 물어보면, 주로 점원이 답해주는 방식으로 판매했지만 이제는 그럴 필요가 없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달 들어 서울시가 가격 표시제를 의무화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규모가 작은 지하상가에서도 옷이나 여행 가방마다 가격을 표시해놨습니다. <br /> <br />[명동 상인 : 손님들이 믿고 다른 가게 다니다가 신뢰가 간다고 해서 와서 사시는 분도 있고. 비교하고 돌아다니다가 가격이 적절하면 오세요.] <br /> <br />과거 명동 거리는 한때 외국인 관광객을 상대로 바가지 판매를 해 한국 관광에 대한 이미지를 해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가격 표시제 도입 이후 명동 거리는 얼마나 달라졌을까? <br /> <br />취재진이 둘러보니 아직도 일부 상점에선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에 물건을 파는 곳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곳에서 세안 밴드 하나를 3천9백 원에 샀는데, 같은 상품을 다른 소매점이나 인터넷에서 구매하면 2천 원대에 살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초부터 계도 기간을 가졌는데도 가격표를 제대로 표시하지 않은 곳도 눈에 띕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와 담당 구청은 연말까지 현장 단속에 나서,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바가지 행위를 근절시키겠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[전은경 / 서울 중구청 생활경제팀 : 흥정하거나 해서 판매를 하실 생각이신데 가격을 확정해서 표시해놓는 거에 부담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. 계도 기간에도 불구하고 가격 표시제를 위반한 업소에 대해서는 최대 천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할 예정입니다.] <br /> <br />한국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쇼핑 명소로 자리 잡은 명동. <br /> <br />합리적인 가격과 상품 경쟁력으로 다시 찾은 외국인 관광객을 맞... (중략)<br /><br />YTN 권준수 (kjs81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01106385493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