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초등학교하면 운동장에서 아이들 뛰노는 모습이 떠오르죠.<br><br>그런데 서울에 학교를 늘리기가 어려워지다보니 어린이집처럼 아파트 1, 2층을 교실로 만들거나 오피스텔을 분교로 활용하는 방안이 추진됩니다. <br> <br>김단비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52세대가 사는 영국의 한 아파트, 1층은 어린이집, 그 위 3개 층은 학교 교실로 쓰이고 옥상은 학생들이 뛰어 놀 수 있는 운동장입니다. <br> <br>미국의 한 초등학교는 6층 규모의 오피스 건물을 리모델링해 1층에서 4층은 교실로, 5층과 6층은 교직원들의 사무공간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앞으로 서울 도심에도 이처럼 다양한 모습의 학교가 들어서게 됩니다. <br><br>아파트 저층을 교실로 활용하거나 상가, 오피스텔을 매입해 1,2학년만 다니는 분교로 만들겠다는 겁니다.<br><br>폐교 위기의 학교를 분교로 전환하고, 학교 용지 일부에 공공주택을 짓는 방안도 검토 합니다. <br><br>서울지역에서 전교생이 300명 이하인 소규모 학교는 2014년 35곳에서 2022년 119곳으로 늘었습니다. <br> <br>작은 학교가 점점 늘어 기존의 학교 형태로는 더 이상 운영하기 어려워졌다는 겁니다. <br><br>[조희연/서울시교육감] <br>"적정한 위치에 학교를 짓고 학생이 찾아오는 방식에서, 학생이 있는 곳으로 학교가 찾아가는 방식으로 교육 수요자 중심의 적정 규모 학교 육성 정책으로 변화를…" <br> <br>지역별 인구 편차가 커지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이른바 도심형 분교 모델이 효율적이라는 설명입니다. <br> <br>재건축, 재개발로 서울 강동구는 학교가 부족한 반면, 구도심화된 서울 광진구에선 유입 인구 감소로 초등학교가 문을 닫는데 새 분교 모델을 활용할 계획입니다. <br><br>서울시교육청은 올해 말까지 관련 법령 등을 개선하고 내년부턴 분교 대상 학교를 지정할 계획입니다.<br><br>채널A뉴스 김단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김재평 <br>영상편집: 김지향<br /><br /><br />김단비 기자 kubee08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