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동안 주춤했던 소나무 재선충병이 재유행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반도 동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는데 경주와 밀양의 피해가 극심하고 울산 울주군 등 3곳은 심각한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JCN 울산중앙방송 구현희 기잡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북 경주시와 맞닿은 울주군 두동면입니다. <br /> <br />인근의 산들이 누렇게 물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가까이 가보니 말라죽은 소나무들입니다. <br /> <br />소나무재선충병에 걸린 겁니다. <br /> <br />한동안 잠잠하던 소나무 재선충병이 확산되고 있습니다. 4년째 감소해오던 울산지역 소나무 재선충병도 지난해를 기점으로 다시 증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울산시 등은 이상 기후로 인한 가뭄과 고온 현상이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유충 증식에 유리했던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울산시 관계자 : 겨울철 가뭄과 이른 봄에 고온 현상으로 두 개 기후가 조건이 맞아 떨어지다 보니까 확산한다….] <br /> <br />8월 말 기준 전국의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 현황도입니다. <br /> <br />16개 시도 142개 시군구 중 빨간색으로 표시된 피해 '극심' 지역은 4곳, 주황색인 '심각' 지역은 3곳인데 울주군이 포함됐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'극심'지역인 경주, 밀양과 맞닿은 곳의 확산 속도가 빠른데 당장 확산을 막을 방법은 없습니다. <br /> <br />산림청이 재선충병 '극심' 지역에 대해서는 공동 방제 원칙을 세웠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울주군 관계자 : 산림청에서 심한 지구들 몇 군데를 합쳐서 같이 방제사업을 들어간다고 하더라고요. 그러다 보니까 예산도 한정되어 있고 이래서 최대한 효율적으로 방재를 해보자 해서 아마 작년 이때쯤 조금 방치를 해둔 것으로….] <br /> <br />다만 예산을 최대한 확보해 다음 달부터 내년 3월까지 집중 방제에 나설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영남알프스는 물론 울산 도심까지 위협하고 있는 소나무 재선충병의 확산을 막을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. <br /> <br />JCN 뉴스 구현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구현희 jcn (sj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1015000556262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