통장협박에 택배문자까지…교묘한 피싱 수법에 피해 속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'검사를 사칭하며 개인정보를 요구한다'는 보이스피싱의 기본 공식은 이미 많이 알려졌죠.<br /><br />하지만 끊임없이 변화하는 수법 탓에 피해는 지속되고 있습니다. 작년만 해도 5천억원 이상의 피해액이 발생했는데요.<br /><br />달라지는 보이스피싱 수법과 피해 현황을 안채린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나날이 발전하는 보이스피싱 수법.<br /><br />최근에는 공개된 계좌번호를 악용한 방법까지 등장했습니다.<br /><br />보이스피싱범이 피싱 피해자의 피해금 일부를 공개된 계좌번호에 송금한 뒤 해당 계좌의 주인이 피싱 가해자라며 경찰에 허위로 신고해 계좌가 지급정지 처리되도록 만드는 겁니다.<br /><br />피싱범들은 피해자들에게 계좌를 되찾고 싶으면 돈을 달라는 식으로 협박해 금품을 갈취해왔습니다.<br /><br />문자를 이용한 '스미싱' 또한 기승입니다.<br /><br />지난 2020년에는 95만 건이 넘는 스미싱 문자가 전송된 것으로 집계됐고, 올해는 6월까지 12만 건 넘는 스미싱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<br /><br />이 문제를 취재하는 순간에도 카드가 하나 개통됐다는 문자가 왔는데요. 본인이 개통한 게 아니면 아래 적힌 번호로 연락하라며 전화를 걸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전화를 하게 되면 '휴대폰에다가 인증 문자를 보낼 테니까 인증 문자를 불러줘' 이렇게 할 수 있죠. '내 휴대폰에 있는 모든 정보를 상대편이 다 가져가도 되냐'를 실질적으로 인증하는 꼴…."<br /><br />이런 식으로 빼낸 개인정보를 토대로 피싱범들이 대출을 받거나 예금을 인출할 수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이 밖에도 외국에서 걸려 온 전화번호를 국내 번호로 바꿔주는 중계기를 사용하거나, 코인 손실을 보전해주겠다며 다른 코인을 사도록 유도하는 등 보이스피싱은 다양한 형태로 피해자들에게 접근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수법 다변화에 피해자들의 고통은 지속될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5천억원을 넘었고, 매년 수만 건 넘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20대 이하 연령층에서는 피해자 수가 점점 늘어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젊은이들에게 익숙한 전자기기를 통해 범죄가 이뤄지는 탓이라고 분석합니다.<br /><br /> "인터넷 뱅킹으로 유도해서 어떤 일들을(피싱을) 하는 건데 스마트폰 많이 쓰고 인터넷 뱅킹에 익숙한 세대로 (피해) 연령층이 좀 낮아졌다…."<br /><br />수법의 고도화로 연령대에 따라 범죄가 '맞춤형'으로 일어나는 만큼 안전지대는 없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 "(피싱범들이) 맞춤형 보이스피싱을 해가지고 20대는 기관 사칭형 그리고 30~40대는 대환대출형, 50대도 마찬가지지만 취약계층은 대부분 다 지인 사칭형입니다."<br /><br />모두가 보이스피싱 피해로부터 안전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전화나 문자로 개인정보를 전달하는 행위를 자제하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안채린입니다. (chaerin163@yna.co.kr)<br /><br />#보이스피싱 #통장협박 #스미싱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