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우철희 앵커, 이승휘 앵커 <br />■ 출연 :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와이드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번 시간 전문가 대담 순서인데요. 경제 소식으로 넘어가보겠습니다. 오는 목요일입니다.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. <br /> <br />6회 연속 동결 가능성도 나오는데끝없이 오르는 밥상 물가에, 중동 지역의 확전 가능성에도 관심이 쏠립니다.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와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어서 오세요. <br /> <br /> <br />안녕하십니까? 목요일입니다. 한국은행이 지금까지는 기준금리를 5차례 연속 동결을 했는데요. 3.5%인데 교수님께서는 이번 금통위,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? <br /> <br />[석병훈] <br />기준금리 여전히 동결하지만요. 추가적으로 기준금리 인상의 가능성도 역시 시사를 하는 소위 말하는 매파적 동결을 할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.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것은 최근에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 기준으로 3.7%로 상승 폭이 증가를 했습니다. 그렇지만 우리가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의 장기 추세를 보여주는 변동성이 큰 식료품 가격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소비자 물가지수 상승률 같은 경우는 여전히 하락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. 그런데 근원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왜 중요하냐면 이것이 통화정책의 효과를 보여주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왜냐하면 에너지 가격은 한국은행의 통화정책과 관련이 없는 산유국의 감산 결정에 영향을 받고, 식료품 가격 역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과 상관없는 기상이변 이런 것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의 효과를 보여줄 수 있는 근원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여전히 하락하고 있고요. 그다음에 반면 경기침체, 금융불안, 이런 것의 위험성은 최근에 이스라엘-하마스의 분쟁 사태로 인한 불확실성, 이런 것으로 인해서 더 커지고 있기 때문에 한국은행은 이런 것을 감안해서 기준금리는 동결을 하고요. 반면에 앞으로 이스라엘-하마스 분쟁 사태가 국제유가를 상승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매파적 동결을 할 것으로 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오는 19일에 기준금리가 결정이 날 텐데 이번에도 동결하면 6번 연속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01516421415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