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 충돌로 불붙은 중동 화약고가 확전이냐 진화냐 기로에 섰습니다.<br><br>바이든 미 대통령이 이스라엘을 내일 전격 방문합니다. <br><br>이스라엘 정상 뿐 아니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과 인근 아랍국가 수장도 만나 중재에 나섭니다.<br><br>이스라엘에 힘을 실어주면서도, 이스라엘의 과도한 가자지구 공격은 반대하고 있죠. <br><br>이 와중에도 하마스와 이스라엘간 교전은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><br>권갑구 기자입니다<br><br>[기자]<br>[토니 블링컨 / 미국 국무장관] <br>"바이든 대통령은 이스라엘에 대한 미국의 연대와, 이스라엘 안보에 대한 확고함을 재확인할 겁니다." <br> <br>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 침투 11일 만에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직접 찾아갑니다. <br> <br> 우방인 이스라엘 지지와 하마스 고립을 위한 의도지만 가자지구 주민을 위한 인도적 조치와 함께 확전을 방지하려는 포석도 깔렸다고 외신들은 분석합니다. <br> <br> 이스라엘의 과도한 보복이나 현상 변경 움직임을 경계하는 겁니다. <br> <br> 특히 하마스의 배후 세력으로 의심 받는 이란이 개입 가능성을 시사하자 바이든 대통령의 발걸음이 빨라졌습니다.<br><br>주변 아랍국인 요르단과 이집트만이 아니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도 만납니다.<br> <br> 앞서 바이든 방문 등을 논의하기 위해 블링컨 국무장관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회동한 시간에도 하마스의 미사일 공격이 이어졌습니다. <br> <br> 블링컨 장관이 국방부 건물로 급히 대피하는 모습도 포착됐습니다.<br><br>[에일론 레비 / 이스라엘 정부 대변인] <br>"지금 여긴 공습경보 중이라 스튜디오를 벗어나야 합니다. 죄송합니다." <br> <br> 가자지구 인근은 여전히 이스라엘 전차들이 포위하고 있는 가운데 양측 사망자는 4000명을 넘어섰습니다. <br><br>채널A뉴스 권갑구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br /><br /><br />권갑구 기자 nin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