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저희 카이로 특파원이 가자지구에서 이집트로 대피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인 라파 검문소로 향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국경지대까지 폭격이 이뤄지면서 가는 길이 험난합니다. <br><br>가자지구 민간인을 돕기 위한 구호 물품도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그 집결지에 카이로 김기윤 특파원이 갔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 부상자를 옮기는 마을 주민들은 넋이 나간 모습입니다.<br><br> '들 것'조차 없어 이웃들은 모포로 덮어 부상자를 옮깁니다. <br><br> 크게 다친 아들이 구급차에 실려가자 아버지는 망연자실해 합니다.<br><br>[현장음] <br>"내 아들, 내 아들…" <br> <br> 이집트와 국경을 맞댄 가자지구 최남단 라파에 있는 마을의 공습 직후 모습입니다. <br> <br>[마리암 아부 / 생존자] <br>"집에서 요리 중이었는데 갑자기 머리 위로 미사일이 날아왔어요. 그 후 모든 것이 어두워졌죠." <br> <br> 인근에는 가자지구 주민들의 유일한 탈출로인 라파 검문소가 있고 피란민들이 몰려든 곳입니다. <br> <br>[아메드 아부 / 생존자] <br>"(무슨 일이 일어났는지) 아무도 몰라요. 수백 명의 사람들이 있었고, 그들 다 죽었어요." <br> <br> 가자지구 최남단까지 폭격이 이어지자 국경 너머 이집트땅에는 다시 긴장이 흐릅니다. <br> <br> 라파 검문소를 향하는 차량마다 더 엄격한 통제가 이어집니다. <br><br>인도적 차원의 구호 물품 전달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습니다. <br><br>유엔 등 해외에서 보낸 구호품들이 이집트 '엘 아리시' 공항으로 모여들지만, 통로로 진입하지 못하는 구호차량들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습니다.<br> <br>라파 검문소에서 250㎞ 떨어진 이스마일리아 시에 있습니다. <br><br> 육로로 배송되는 구호품들의 집결지인데요. <br> <br> 난민 유입이 우려되면서 이곳 식료품 가격도 들썩이고 있습니다.<br> <br>국제사회의 압박 속에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남부에 '인도주의 구역'을 설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<br> 그러나 언제 어떤 형태로 지원을 허용할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. <br><br>이집트 이스마일리아에서 채널A 뉴스 김기윤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변은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