윤석열 대통령의 메시지가 달라졌다. 각종 행사에서 ‘공산주의’나 ‘반국가세력’을 거론했던 윤 대통령이 ‘공감’과 ‘반성’을 얘기하기 시작했다. 윤 대통령은 18일 오전 참모들과의 회의에서 “국민은 왕이다. 늘 옳다”며 “어떠한 비판에도 변명하지 말고 분골쇄신하라”고 주문했다. 김은혜 홍보수석은 브리핑에서 이같은 지시를 전하며 “윤 대통령은 참모들에게 ‘민생 현장으로 더 들어가 챙겨야 한다’는 당부를 했다”고 말했다. <br /> <br /> 이날 경찰의날 기념식에 참석한 윤 대통령의 모습에서도 변화는 감지됐다. 지난해 경찰의날 기념사에서 “법질서를 바로 세울 때 국민이 온전한 자유를 누리게 될 것”이라며 자유를 강조했던 윤 대통령은 올해 기념사에선 자유를 언급하지 않았다. 대신, 안전·민생·치안과 같이 국민의 삶과 밀접한 단어들을 말했다. 윤 대통령은 “경찰 조직을 국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치안 중심으로 재편해야 한다”며 “성폭력, 아동학대, 가정폭력, 스토킹과 같이 약자를 상대로 하는 범죄는 절대 용납해서는 안 된다”고 말했다. 윤 대통령은 행사가 끝난 뒤 촘촘히 놓여있던 의자 열을 비집고 들어가 270여명의 참석자와 일일이 악수했다. <br /> <br /> 윤 대통령은 전날엔 반성이란 말도 썼다. 90여명이 참석한 국민통합위원회(위원장 김한길) 만찬 때 윤 대통령은 “국민통합위원회의 활동과 정책 제언은 저에게도 많은 통찰을 줬다고 확신한다”며 “이것이 얼마나 정책집행으로 이어졌는지 돌이켜보고 반성하겠다”고 말했다. 그러면서 “국민통합은 전문성만 갖고 되는 게 아니라 어려움을 공감해야 한다”며 “위원회의 다양한 정책 제언을 당과 내각에서 꼼꼼하게 읽어달라”고 당부했다. <br /> <br /> 윤 대통령은 시민 간의 연대를 언급하며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200358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