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박석원 앵커, 윤보리 앵커 <br />■ 출연 : 엄윤주 경제부 기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큐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한국은행이 여섯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연 3.5%로 동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좀처럼 살아나지 않은 경기와 이스라엘·팔레스타인 사태 여파 등 경기 불확실성이 커진 영향이 컸습니다. <br /> <br />경제부 엄윤주 기자와 함께 금리 이슈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엄 기자, 예상했던 대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3.5%로 동결했네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시장의 예상대로 연 3.5%를 유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오늘 오전 회의를 열고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월과 4월, 5월, 7월, 8월에 이어 6차례 연속 동결 결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렇다면 이 같은 결정 배경에는 어떤 게 있었는지 설명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기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은 게 가장 컸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우리 경제를 견인해온 수출이 여전히 부진합니다. <br /> <br />무역수지 흑자 폭이 2년 만에 최대치로 늘었지만, 안심하긴 이릅니다. <br /> <br />수출보다는 수입액 감소에 기댄 이른바 불황형 흑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최근 소비도 위축되면서 그동안 정부와 한국은행이 기대해온 '상저하고', 그러니까 상반기에는 저조하지만, 하반기에는 반등할 거라는 전망 역시 불투명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우리 수출 비중이 높은 중국 경기가 조금씩 살아나고 있긴 하지만, 아직 회복이 본격화됐다고 볼 순 없는데요. <br /> <br />이런 상황에서 금리까지 올리게 되면 경기가 더 쪼그라들 수 있다는 점을 가장 크게 고려한 결과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하지만 여전히 부담스러운 요소들도 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먼저 물가가 걱정입니다. <br /> <br />요즘 시장을 가보면 정말 안 오른 게 없는데요. <br /> <br />치솟는 재료비 탓에 김장도 포기하겠다는 분들도 많더라고요. <br /> <br />이처럼 잡히는 듯했던 물가는 다섯 달 만에 최대 폭으로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이스라엘·팔레스타인 사태라는 새로운 변수까지 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동 무력 충돌 발 국제 유가 상승이 물가를 더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큰 상황인 겁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이번 사태가 미국과 이란의 대리전으로 확산하는 양상으로 펼쳐질 경우, 우리로서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될 수밖에 없는데요. <br /> <br />유가가 배럴당 1... (중략)<br /><br />YTN 엄윤주 (eomyj101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01917130748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